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올 1분기 말 중기 대출 합산 잔액은 43조4362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작년 말(41조3644억원)에서 3개월 새 5%(2조680억원)나 늘어난 것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증가 수준(1조395억원)을 두 배 가까이 상회한다.
같은 기간 대기업 대출 잔액은 2조133억원 수준에 그쳤다. 이에 따라 전체 기업자금 대출(45조4460억원) 중 중기가 차지하는 비중도 95.6%까지 확대됐다.
특히 대형 저축은행의 증가 폭이 컸다. SBI·OK·웰컴·페퍼·한국투자 등 5개사의 중기대출 잔액은 12조9014억원까지 확대됐다. 전체 중 30%가량을 흡수하고 있는 셈이다.
그럼에도 건전성 관련 위험부담은 급격히 커질 수밖에 없다. 저축은행 주 이용고객의 신용이 타 업권에 비해 떨어지는 게 최대 불안요소다. 작년 9월 말 기준 저축은행 개인사업자 차주의 평균 신용등급은 5등급으로 타업권(여신 3.2등급, 상호금융 3.2등급)보다 2단계가량 낮았다.
사업자별 채무 상환 부담이 커진 것도 문제다. 최근 예금보험공사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저축은행에서 대출받은 개인사업자 10명 중 4명은 소득의 4배를 넘어서는 부채를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다중채무자가 많은 특성까지 더하면 부실 가능성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코로나19’ 관련 피해업종의 대출 증가폭이 큰 것도 부정 요인이다. 도소매업 관련 대출 잔액은 작년 3월 말 3조5603억원에서 올 3월 4조6091억원으로 29.5%나 불었다. 숙박 및 음식점업 잔액도 2조3940억원으로 작년 동기(2조3978억원)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상대적으로 부실 가능성이 높은 개인사업자 잔액(14조537억원)도 작년 동기보다 9%나 늘었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이자 유예가 또 한차례 연장돼) 추후 이연된 부실이 한꺼번에 쏠리면 그만큼 위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며 “이자 유예를 먼저 중단한다든지 (금융사 입장에서) 리스크를 분산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함께 나와줘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