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세종 관가 안팎에선 신임 차관에 관한 하마평이 무성하다. 차관 후보자로는 기존 조직의 정체성을 이어갈 수 있는 주영준 에너지자원실장과 함께 산업부 내 요직을 두루 경험한 강경성 산업정책실장의 이름도 나온다. 외부에서는 임춘택 전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장의 발탁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교수나 정치인 등 비관료 출신 인사가 깜짝 임용될 것이라는 관측도 들린다.
사실 이번 에너지 차관 인사는 누가 되느냐보다 어떤 임무를 이어가냐가 더 중요한 포인트다.
먼저 에너지 부문에서 신설 차관 자리를 마련했다는 것은 일명 탈원전 정책으로 불리는 에너지 전환정책의 추진에 청와대가 강한 의지를 보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탈원전 정책은 문재인 정권 출범 이후 정치권과 각종 시민단체가 뒤엉켜 끝없는 논쟁을 이어가고 있다. 정권 말 이번 정부의 에너지 정책이 동력을 잃을 수도 있는 상황에서 신임 차관이라는 카드를 행사해 행정의 연속성을 확보한 셈이다.
정부의 조직도 변경됐고 차관 자리도 마련됐다. 열차는 이미 출발했다. 이제 남은 문제는 신임 차관이 어떻게 잘하느냐다. 화석연료 및 원전과 재생에너지의 비율 조정 문제에 관해 사회적 논쟁이 여전히 되풀이되고 있다. 조금은 더 중립적이고 더 전문적인 정부가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신임 차관이 에너지 정책의 마지막 구원투수가 될지 모두의 눈과 귀가 쏠리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