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따른 사망·이상반응 등의 부작용이 속출하면서 ‘백신기피’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방역당국의 부작용 대응 체계와 피해 환자 및 유가족 등의 기대치가 접점을 이루지 못하면서 피해를 호소하는 일부 국민들 사이에서 ‘백신무용론’까지 나오고 있다.
2030 연령층 등 코로나 고위험군이 아닌 세대에서는 ‘코로나 백신을 맞다가 숨지는 것보다 코로나에 감염돼 숨지는 확률이 더 적다’는 볼멘소리까지 들린다.
감염병 전문가들은 젊은 세대라도 백신 접종은 필수라며 방역당국이 백신 부작용에 대한 대응체계를 더 강화해 국민 불안감을 낮출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은다.
11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에 따르면 지난 9∼10일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이 의심된다며 보건당국에 신고한 신규 사례는 총 4425건에 달한다.
국내에서 백신 접종이 시작된 지난 2월 26일 이후 신고된 이상반응 의심 사례는 누적 13만 3037건이다.
이날 0시 기준으로 누적 사망 신고 사례는 총 454명이며, 백신 종류별로 화이자 263명, 아스트라제네카 183명, 얀센 7명, 모더나 1명이다.
추진단에 따르면 현재까지 1차 접종은 총 2163만5106명이 마쳤고, 2차까지 모두 완료한 국민은 806만2980명이다. 1차 접종률은 42.1%, 2차까지 접종률은 15.7%다.
문제는 최근 백신 접종률이 높아지면서 접종 후 숨지거나 이상반응으로 피해를 호소하는 사건·사고가 잇따르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9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아들이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받고 백혈병을 판정받았다며 도움을 호소하는 부모의 청원이 올라왔다.
청원인은 “정부 방침에 따라 고3인 아들이 코로나19 백신을 접종받았다”며 “그런데 접종 9일 만에 혈소판 감소, 백혈구 증가라는 의사의 말을 들었다”고 주장했다.
현재 백신 부작용 및 후유증 사례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이를 호소하는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글만 140건에 달한다.
현직 간호사라고 밝힌 또 다른 청원인은 AZ 백신 접종 후 길랭-바레증후군을 진단받고 사지 마비로 중환자실에 입원 중인 아버지의 사연을 전하며 “백신 인과성 부적격 판정이 억울하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청원인은 자신의 부인이 코로나19 백신 2차 접종 후 하루 만에 숨졌다며 “너무 분하고 억울하고 힘들다”는 청원을 올렸다.
해당 여성은 수술 이력도 없고 기저질환환자도 아닌 35세 건강한 여성이었고, 출산 후 육아휴직을 했다가 5월 재취업한 어린이집 교사로 알려져 안타까움을 더한다.
물론 코로나 백신 접종 후유증으로 피해보상을 받은 사례도 있다.
지난 6일 코로나19 백신을 맞은 뒤 사지마비 증상을 보인 40대 간호조무사가 산업재해 인정을 받았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유증이 업무 관련성으로 산재로 인정된 첫 사례였다.
그러나 당시에도 방역당국은 백신 후유증으로 사망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인정하지 않았다.
질병관리청 등 방역당국은 백신접종 후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의심 등 다양한 부작용에 대해 항체검사를 시행하는 등 관련성 조사에 성실히 나서고 있다는 설명이다.
질병청 관계자는 “국민들이 안심하고 백신을 접종하실 수 있도록 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조사 및 감시체계를 수정‧보완하겠다”고 말했다.
반면 전문가들과 의료진들은 정부의 대응체계가 여전히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대한의사협회는 11일 성명을 내고 “공무원들의 전형적인 행정 만능주의에서 백신 후유증 환자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며 “일선 의료기관들이 백신접종 환자에 대한 관리를 보다 세심히 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