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 친화적인 거래 환경의 핵심은 구주 거래 활성화다. 전문 벤처투자집단인 벤처캐피털(VC)이나 액셀러레이터는 10년 넘게 창업기업과 동행하며 성장을 지켜볼 수 있지만, 개인 입장에서는 막연하게 긴 시간이다. 창업 초기 수익이 부족한 스타트업 입장에서도 인재를 채용하기 위해 제시하는 스톡옵션은 구주 거래가 활성화되지 않으면 별다른 효용가치가 없다. ‘창업-투자-성장-회수-재투자’의 선순환 고리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구주 거래라는 윤활유가 반드시 필요한 셈이다.
오현석 캡박스 대표는 “정부의 (창업·벤처 정책) 드라이브로 스타트업에 투자한 분들이 많은데, 모두가 10년 이후를 기다리기는 힘들다. 결국엔 구주 거래가 원활해야 스타트업 투자가 늘어나고, 재투자도 가능하다”며 “직원들이 스톡옵션을 의미 없는 종이 문서로 생각하면 좋은 인재를 구하기 힘들다. 모험에 동참하고, 추후 (연봉보다) 더 큰 보상을 제공할 수 있어야 스타트업이 성장하는데, 지금까지는 현금화가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다. 업계 성장과 자본 선순환 측면에서 구주 거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 기사 : [엔젤투자가 답이다①] 비상장 투자, 커진다
실제 개인투자조합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조합원 모집계획과 투자계획 등 10여개 서류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에게 제출해야 한다. 여기에 조합당 10~20명의 조합원에게 일일이 투자확인서를 서명 받아 제출하는 절차 등을 거치기 때문에 업무집행조합원(GP)이 신경 써야 할 사항이 더 많아진다.
증권관리 플랫폼 쿼타북의 최동현 대표는 “장기적으로 보면 경영 제반사항을 모두 온라인에 담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 전자증권이 실용화하면 서명이나 인감도장이 개인 신원을 확인하는 데 얼마나 효율적일지 생각해봐야 한다”며 “주주총회만 해도 투표권은 온라인으로 행사할 수 있는데, 아직 전자주총은 없지 않나. 이사회는 온라인 개최가 가능한데, 주총만 안 되는 것도 모순이다. 주주들의 의사결정 등 최대한 많은 부분을 온라인화하면 (비상장 주식 투자 및 관리가) 조금 더 원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기부 관계자는 “개인투자조합도 금융업의 일종이기 때문에 전문성이 필요하고, 개인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GP 관리의 강화가 필요한 측면이 있다. 다만, LP(유동성공급자)는 참여하기 쉬운 방향으로 완화해야 할 필요는 있다”며 “조합을 위한 목적은 아니지만, 올해부터 예산에 반영해 LP 보고시스템을 만들고 있다. 당장은 어렵겠지만, 이 시스템을 통해 조합의 업무 보고도 전자화하는 장치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비상장 스타트업의 구주 거래를 활성화하는 방향은 바람직하다고 본다”면서 “벤처 통합 포털을 구축하면 구주 거래에 대한 관심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 현재 민간에서 사용되고 있는 플랫폼과 함께 협력할 방안을 구상 중”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