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영변의 핵시설 단지 모습을 지난 27일 위성으로 촬영한 사진.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이날 발간한 북핵 관련 9월 연례 이사회 보고서에서 영변 핵시설 내 5MW(메가와트) 원자로와 관련해 "2021년 7월 초부터 냉각수 방출을 포함해 원자로 가동과 일치하는 정황들이 있었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관련 질문에 “한·미 간에는 현재 상황에 대한 일치된 인식을 바탕으로 북한과 대화를 적극 모색해나가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 관계자는 영변 핵시설 동향 관련해 “우리 정부가 긴밀한 한미 공조 하에 북한 핵미사일 활동을 지속적으로 예의주시해 왔다”면서 “북한의 핵 활동, 미사일 동향을 한미 정보 양국이 면밀하게 살피고 있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명백하게 말씀드린다”고 강조했다.
앞서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북한의 핵 활동에 대한 연례 보고서’에서 5㎿(메가와트)급 원자로와 관련해 “7월 초부터 원자로 가동과 일치하는 냉각수 방출 등의 징후를 보였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부는 지난달 27일 남북 통신연락선 복원을 남북 관계의 희소식이라고 대대적으로 홍보해왔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통신선 복원 당시 정부가 영변 핵시설 가동 징후를 파악하고 있었냐’는 질문에는 “정보 사안에 대해서는 일일이 확인해주기는 어렵다”면서 “북한의 핵 활동, 미사일 동향은 한미 정보 당국이 면밀하게 살피고 있다는 말씀을 다시 한 번 드리겠다”고 즉답을 피했다.
한편, 청와대는 남북 평화를 지향하는 문재인 정부가 5년 임기 동안 국방비를 36.9% 증액하는 등 역대 정부보다 군비 증강에 적극적이었다는 지적에 대해 “군비 증강과 튼튼한 국방력은 한반도 비핵화나 항구적인 평화 정착을 위한 전제 조건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