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평택항만공사, 평택항 올 상반기 컨 물동량 24.3% 대폭 상승 밝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평택)강대웅·송인호 기자
입력 2021-09-27 18:0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부산항·인천항 등 전국 5대 무역항 중 최대 증가율 기록

  • 처리 비중, 중국·베트남·필리핀 순...중국이 대부분 차지

평택항 전경 [사진=경기평택항만공사 제공]

경기평택항만공사는 27일 올 상반기 평택항 컨테이너 물동량(452,536TEU)이 전년 동기(364,129TEU) 대비 24.3% 증가했다고 밝혔다.

공사에 따르면 상반기 전국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전년 동기 14,376천TEU에서 4.6% 증가한 1만5044천TEU를 기록했으며 증가율은 부산항 5.1%, 인천항 9.2%, 광양항 –7.2%, 울산항 –8.2%이고 그 중 평택항은 24.3% 증가해 전국 5대 무역항 중 최대 증가율을 기록했다.

특히 평택항 국가별 컨테이너 처리 비중은 중국(38만 9,869TEU), 베트남(2만 2,656TEU), 필리핀(1만 8,181TEU)이 각각 86.2%, 5.1%, 4.0%으로 중국이 대부분 차지했다.

증감율에선 중국(30.0%)과 필리핀(14.1%)이 증가하고 있고 그동안 증가세였던 베트남(△6.6%)은 감소했다.

베트남 물동량 감소의 주요 원인은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한 ‘도시봉쇄’ 장기화로 국내 대기업 현지 공장(삼성전자, LG전자 등)의 가동률 하락과 백신 접종 지연 등으로 분석된다.

공사는 평택항 컨테이너 처리실적이 증가한 주요 원인으로 물동량 대다수를 차지하는 중국과의 물동량 증가와 코로나19 특수에 의한 해운호황으로 판단했다.

특히 상반기에는 코로나 방역과 백신 접종 확대로 중국 공장들이 신속하게 생산 복귀해 중국 시장이 다시 활성화된 것이 평택항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며 이로인해 평택항 주요 교역 항만들인 상해항(64.1%), 톈진항(50.5%), 연운항(63.9%)이 전년 대비 대규모 증가했다.

또한 공사에서 시행하고 있는 글로벌 점프업 지원사업과 화물유치 인센티브 정책 등 중소수출화물유치사업과 평택항 포트세일즈 사업 등이 평택항의 인지도를 높이는데 기여한 것으로 보여진다.

공사는 이와 함께 지난해 말 중국 신규항로(경당항~웨이팡항) 추가 개설과 상해항 취항 선사의 대형 컨테이너선 투입, 주요 무역국의 적극적인 경기 부양책 등과 같은 원인들이 물동량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여지며 상승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