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HY클린메탈이 착공한 이 공장은 6만㎡ 부지에 1200억원을 투자해 내년 하반기에 완공된다.

30일 전남 광양 율촌산단에서 열린 포스코HY클린메탈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공장 착공식에서 참석자들이 시삽하고 있다. [사진=광양제철소 제공]
정창화 포스코 신성장부문장은 착공식에서 “포스코가 중국 화유코발트와 합작해 설립한 포스코HY클린메탈은 폐전지에서 이차전지소재의 필수 원료인 니켈, 리튬 등을 추출해 판매하는 친환경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사업으로 포스코그룹의 미래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지속적인 투자와 기술개발을 통해 글로벌 이차전지소재 공급회사로 입지를 굳건히 하겠다”고 강조했다.
폐전지 스크랩에서 이차전지 소재를 추출하는 자원순환 친환경 리사이클링 시장은 전기차 성장과 함께 2040년 28조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앞으로 시장 상황에 따라 추가 증설을 계획하고 있다.
이날 착공식에는 송상락 광양만경제자유구역청장과 이건섭 전라남도 일자리경제본부장, 박현식 여수부시장, 김경호 광양부시장, 전창곤 여수시의회의장, 진수화 광양시의회의장, GS에너지 허용수 사장, LG에너지솔루션 장승세 전무, 포스코케미칼 민경준 사장, 포스코HY클린메탈 지우황 대표이사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포스코는 올해 3월 유럽 이차전지 공장의 폐전지 스크랩을 Black Powder로 가공하는 PLSC 법인을 폴란드에 설립했고 지난 5월에는 광물 정련·정제에 세계적 기술을 보유한 중국 화유코발트사와 65:35 비율로 합작해 Black Powder에서 니켈, 리튬 등을 추출하는 공정을 담당하는 포스코HY클린메탈을 설립했다.
포스코그룹은 2030년까지 리튬 22만 톤, 니켈 10만 톤을 자체 공급해, 2030년까지 양극재 40만 톤, 음극재 26만 톤 생산체제를 구축해 이차전지소재 부문에서 매출액 연 23조원을 달성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