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만공사(IPA)는 지난 5월 7일 인천신항 1-2단계 ‘컨’부두의 하부공 축조공사에 착공한 뒤 오는 2025년 상반기까지 안벽, 준설·매립, 지반개량 등 기반시설 공사, 상부사업자 선정 후 2024년부터는 운영동 건축물 축조, 장치장 포장 등 상부공사를 거쳐 ’2026년 장비설치 및 시운전 후 부두개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5일 밝혔다.
IPA에 따르면 ‘컨’ 물동량은 최근 5년간 약 6.8% 성장률을 보이며 지난해 최대 물동량인 327만TEU 실적을 기록하고 인천신항 2개 터미널(선광신컨테이너터미널, 한진인천컨테이너터미널)도 각 100만TEU 이상을 처리한 바 있으며, 올해에도 345만 TEU를 달성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세계적으로 컨테이너 물동량의 증가, 선박 대형화 및 기술환경변화로 자동화 터미널이 확대되고 부산신항, 광양항을 중심으로 한국형 장비가 포함된 자동화부두 도입이 속속 추진되고 있어 서남아시아, 중동 등 원양 정기항로의 개발이 필요한 인천항도 해외 선진항만에 뒤처지지 않는 항만시설의 규모를 갖추고 AI·사물인터넷 등 4차 산업기술을 도입한 첨단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AI·사물인터넷·자율주행 등 첨단기술이 반영된 스마트부두는 작업영역 내 사람의 접근이 제한되어 안전사고 발생 요인이 사전 차단되고 24시간 운영이 가능해 생산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IPA는 기대했다.
또한 완전 무인자동화 터미널 도입이 이뤄지면 초기투자비는 기존 재래식 부두에 비해 높으나 생산성 증가로 인해 장기적인 부두경쟁력이 높아지며, 배터리 방식의 이송장비(AGV) 등을 활용해 항만 내 탄소 배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아울러 기술집약적 항만으로 탈바꿈하여 해외 선진항만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고 국내장비, 부품, 시스템의 정책적 육성을 통해 항만산업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IPA는 최근 글로벌 선사들이 초대형 선박 운영에 따른 비용절감을 이유로 높은 생산성을 발휘할 수 있는 자동화부두를 선호하고 있어 이는 장래 선진항만들과의 경쟁에서 승패를 가를 수 있는 중요한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IPA는 이와 함께 대규모 항만인프라 개발사업 추진으로 인해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로는 지역 내 부가가치 유발효과 2699억원, 생산유발효과 6217억원, 취업유발휴과는 약 6000여명을 거둘 것으로 예상했다.
홍성소 IPA 건설부문 부사장은 “인천신항 1-2단계 컨테이너부두 개발은 안전성 확보 및 생산성 증대로 항만 경쟁력을 향상 시키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IPA는 야간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이용자 만족도 제고를 위해 인천 신항 임시 항만주차장 내 LED 태양광 가로등을 추가 설치했다.
인천시 연수구 소재 이 주차장은 그간 전력공급이 어려워 안전사고 발생 우려와 운전자의 애로사항이 있자 IPA는 지난 8월 별도의 전력공급 없이 운영이 가능한 친환경 LED 태양광 가로등 2개를 임시 화물차주차장 내 시범 설치했으며, 이달까지 18개를 추가 설치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