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9월 1일 부산항 신선대·감만 부두가 분주한 모습이다. [사진=연합뉴스]
산업통상자원부와 관세청은 26일 오후 1시 53분 우리나라 무역액이 1조 달러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무역액은 수출액과 수입액을 합한 금액으로 각각 5122억 달러, 4878억 달러를 기록했다.
우리 무역은 2011~2014년, 2017~2019년 총 7차례에 걸쳐 1조 달러를 달성했으나,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한 세계 무역 침체로 1조 달러를 넘어서지 못했다. 하지만 올해 곧바로 반등하며 무역액 1조 달러를 회복했다.
특히 올해는 사상 최단기간에 무역규모 1조 달러를 돌파하며 이전 수준의 회복을 넘어 무역통계 집계 이래 최고의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앞서 무역액 1조 달러 달성은 지난 2018년 320일이 가장 짧은 기록이었으나 올해는 299일 만에 달성, 우리 무역의 견고함을 과시했다. 올해 수출액도 이달 20일 이미 5000억 달러를 돌파하며 5년 연속 5000억 달러 행진을 이어나갔다.
우리나라는 이번 코로나 시국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방역체계와 견고한 생산시설을 앞세워 국내 생산 차질을 최소화했다. 이 덕분에 반도체・조선・스마트폰 등 주력산업은 제품 경쟁력을 앞세워 세계 시장에서의 지위를 공고히 할 수 있었다. 반도체의 경우 전체 수출액의 5분의1에 해당하는 983억 달러를 기록했다. 아울러 올해 2분기 메모리 반도체 매출은 세계 1위 지위도 탈환했다. 조선 역시 전 세계 수주금액 1위를 차지하며 수출에 힘을 보탰다.
이외에도 시장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하며 시스템 반도체・친환경 자동차・고부가가치 선박・이차전지・OLED・바이오헬스 등 신성장・고부가가치 품목들이 새로운 수출 유망품목으로 성장했다.
대한민국의 글로벌 위상이 오르면서 K팝, K콘텐츠 등 한류를 바탕으로 한 농수산식품・화장품・가전 등 소비재 품목 수출 확대도 눈여겨볼 만하다. 농수산식품・화장품 수출은 역대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예상되며, 가전은 11년 만에 최대 증가율을 기록하며(+27.5%) 성장세를 지속 중이다.
이러한 원동력을 바탕으로 우리 무역규모는 지난해보다 한 단계 상승한 세계 8위를 기록, 무역 강국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이는 이탈리아와 영국보다도 더 큰 규모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사상 최단기 무역 1조 달러 달성은 수출입 물류 애로, 변이 바이러스 지속, 공급망 차질 등 여러 난관을 극복하고 모든 국민들이 함께 이루어낸 값진 성과"라며 "무역 성장의 모멘텀을 이어나가 연간 수출액도 사상 최고치를 달성하기 위해 수출입 물류 등 현장 애로 해소, 중소기업 수출역량 강화, 미래 무역기반 확충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