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이 2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37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겸 코로나 정책점검회의 겸 한국판뉴딜 점검 TF'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이 손실보상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 업종에 대한 대책을 내달 중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이 차관은 2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겸 정책점검회의 겸 한국판뉴딜 점검회의'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손실보상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 업종에 대해서는 저리융자 프로그램, 매출 회복 지원 등 업종의 특성·수요 등을 감안한 맞춤형 대책을 관계부처 간 긴밀한 협업을 통해 11월 중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소상공인에 대한 정부의 손실보상 지급 절차는 지난 27일 시작됐다. 지난 27~28일 이틀간 신속 보상 대상 61만5000개사 중 11만4000개사(18.5%)가 신속 보상 지급을 신청했다. 이 중 10만2000개사에 대해 3431억원의 손실보상금을 지급했다. 업체당 평균 335만원 수준이다.
이달 30일까지는 사업자번호 끝자리 기준으로 홀짝제로 신청할 수 있다. 31일부터는 제한 없이 모두 신청할 수 있다. 다음 달 3일부터는 온라인 신청이 어려운 소상공인들을 위해 인근 시·군·구청 전용 창구에서 오프라인 신청도 받는다.
이 차관은 "정부는 손실보상 집행이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행정력을 총집중해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2021 코리아세일페스타(코세페)' 추진 방향도 논의됐다. 코세페는 다음 달 1일부터 15일까지 2주간 열린다.
2016년 300여개 기업의 참여로 시작한 코세페는 올해 6회째다. 올해는 역대 최대 규모인 2000여개 기업이 참여해 다양한 할인행사를 제공한다. 17개 지자체도 행사 기간에 맞춰 지역별 소비 진작 행사를 개최한다.
이 차관은 "이번 행사가 어려움을 겪고 계시는 중소기업과 중소상인에게 힘이 될 수 있도록 행사 기간 중 온누리상품권 할인을 5%에서 10%로 확대하고 지역사랑상품권 공급을 평상시 대비 3배 수준으로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역·서민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도 힘쓰겠다"며 "지역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을 통한 지역특산품 기획전, 중소기업·소상공인을 위한 온·오프라인 할인전 등과 같은 다채로운 소비 진작 행사를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인공지능 활용과 확산 추진 현황 및 향후 계획도 밝혔다. 이 차관은 "우리 기업들의 인공지능(AI) 활용을 촉진할 수 있도록 AI 바우처 등을 지원해 AI 공급기업이 지난 2년간 4.5배 증가하는 등 AI 산업 발전의 기틀이 마련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AI를 행정서비스에 접목시켜 백신 예약, 국민지원금 등을 알려주는 AI 국민비서를 제공하고 보건·안전·국방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에서 AI 융합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등 정부가 AI 확산에 마중물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이 차관은 "현재 대형병원 중심으로 운영 중인 주요 질환을 진단하는 '닥터앤서 1.0'을 각 지역의 주요 거점 병원 등으로 확산하는 등 국민이 더욱 편리하게 AI 서비스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정부는 내년도 예산안에 AI 역량 강화를 위한 주요 사업에 올해보다 20.4% 증가한 2조2158억원을 반영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