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 송도 셀트럴파크 전경[사진=인천시 제공]
인천시는 2030년까지 건축부문 온실가스 32.6% 감축을 목표로 인천시 녹색건축물 설계기준을 제정하고 10월 29일 고시했다고 밝혔다. 시가 이번에 기준안을 마련한 녹색건축물이란 에너지 이용 효율 및 신재생 에너지의 사용비율이 높고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는 건축물을 말한다
녹색건축물 설계기준은 신축 혹은 증축하는 연면적 합계 500㎡ 이상 건축물을 대상으로 △환경성능 △환경관리 △에너지성능 △에너지관리 △신·재생에너지 설치 등 총 5개 부문 25개 항목에 적용된다.
단, 건축물의 용도 및 규모에 따라 4개 군으로 분류해 차등 적용한다.
특히 민간건축물에는 신재생에너지설비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설치비율 기준은 2022년 8~10%(주거 비주거)를 시작으로 2년마다 1%씩 상향조정해 2030년에는 12~14%까지 높인다.
신재생에너지설비 설치로 주택면적 85㎡ 설계기준 적용 시 가구당 연간 에너지 사용비용을 57만원(에너지 사용량 60% 절감 사용비용 141만원에서 84만원으로 절감)까지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손병득 시 도시경관건축과장은 “이번 녹색건축물 설계기준 제정을 통해 탄소배출 중립을 위한 첫걸음을 뗐다”면서 “이번에 제정된 설계기준을 적용해 건물 신축 시 연간 에너지사용량을 최대 60%까지 줄일 수 있어 온실가스 감축에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은 물론 주민들의 주거환경 개선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