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공익직불제는 농업과 농촌의 공익기능 증진과 농업인의 소득 안정을 위해 일정 자격을 갖추고 준수사항을 이행하는 농업인에게 직불금을 지급하는 제도다.
도는 자격요건이 검증된 14만 4천 농가(9만 7천ha)에 총 2215억원을 지급한다.
이 중 0.5ha 미만의 농지를 경작하는 농가를 대상으로 하는 소농직불금은 814억원(6만 7천 농가), 0.5ha 이상의 농지를 경작하는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면적직불금은 1401억원(7만 7천 명)이다.
또 직불금 신청자를 대상으로 농지의 형상과 기능 유지 등 준수사항에 대한 이행 점검을 추진하고, 농지를 적정하게 유지·관리하지 못하거나 농약 안전 사용 기준을 지키지 않는 등 위반이 확인된 경우 각 준수사항별로 직불금을 10% 감액 적용했다.
도는 10일 공익직불금을 시·군으로 교부해, 관할 읍·면·동에서 농업인 계좌 확인 등을 거쳐 순차적으로 농업인에게 지급할 예정이며, 특히 올해는 농업인에게 실제 지급되는 시기가 지난해보다 앞당겨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조현홍 경남도 농업정책과장은 “공익직불금이 조기에 지급되어 어려운 시기에 농업 현장을 꿋꿋이 지키고 있는 농업인에게 도움이 되고, 농업·농촌의 공익기능 증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