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긴급 비상 대책 회의는 최근 중국의 요소 수출 제한조치(10. 15)로 촉발된 요소수 재고 부족 문제에 따른 것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도민 안전과 밀접한 소방차‧구급차 등 긴급자동차와 교통운수사업용 차량 등의 현재 요소수 재고량과 수급 동향, 예상 문제점 등을 공유하고 향후 확보방안 등 대책을 논의했다.
요소수는 주성분이 요소와 물로 돼 있으며, 경유 차량의 배출가스 중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기 위한 장치(SCR)에 사용되는 액상의 화학물질이다.
요소수를 사용하는 지역 내 대중교통‧화물차량은 9609대, 굴삭기 등 건설기계는 1만6261대, 청소차 등 공공기관 차량은 1117대이다.
이들 차량에 소요되는 요소수 재고는 앞으로 평균 1개월 정도 분을 확보해 놓은 상태이나,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를 대비해 정부에 요소수 물량 우선 배정을 요청했다.
이와 더불어 도민 생활과 직결되는 생활폐기물 수거용 청소차 중 운행의 차질이 예상되는 일부 차량에 대해서는 1t 트럭을 청소차 임시 운반 차량으로 변경 신고해 운용할 수 있도록 환경부와 협의하고 있다.
요소수 수급이 안정화될 때까지는 각 분야별 대응 실적을 점검하고, 부처별 수요 파악에 대한 즉각 대응과 수요 해소방안에 대해 다각적으로 검토할 방침이다.
강성조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요소 수입 재개를 위해 중앙부처 차원에서도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는 만큼 정부 정책에 적극적으로 협조하면서, 차량용 요소수 부족으로 최악의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도 차원의 대응계획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