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는 지난 17일 경상북도와 함께 대면적 그래핀의 ‘Roll to Roll’ 연속합성법(신문을 찍어내듯 연속생산방식)을 세계 최초로 개발·상용화에 성공한 그래핀스퀘어(주)와 TV용 초박막 복합광학시트 국내 1위 기업 글로텍(주)과 투자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자리에는 이강덕 포항시장, 하대성 경북도 경제부지사, 김희수 경북도의회 부의장, 정해종 포항시의회 의장, 홍병희 그래핀스퀘어(주) 대표이사, 최원빈 글로텍(주) 대표이사 등 기업체 대표와 R&D기관장들이 참석해 미래 신소재 특화단지 조성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큰 기대감을 보여줬다.
특히, 이날 투자양해각서 체결은 포항시가 지난 3월 31일 그래핀스퀘어(주), 포스코, 포스텍,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과 포항그래핀밸리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이 있은 후 그래핀 생산기업과 그래핀 활용기업의 동시 투자라는 쾌거를 이끌어냈을 뿐만 아니라 포항시와 함께 산학연 협력시스템이 일구어낸 큰 성과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그래핀스퀘어(주)와 글로텍(주)의 그래핀 투자를 진심으로 환영한다”며, “그래핀스퀘어(주)와 글로텍(주)의 투자유치를 시작으로 포항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에 그래핀 수요기업 20개사 유치와 그래핀기업체 육성·지원을 위한 그래핀 국제표준평가센터 구축을 통해 그래핀 산업 선점과 글로벌 스탠다드 주도 등 그래핀 밸류체인 형성 및 포항그래핀밸리 조성에 박차를 가하겠다”라고 전했다
홍병희 그래핀스퀘어㈜ 대표이사는 “포스코와 포스텍, 리스트 등 지역자원의 적극 지원으로 잉태된 그래핀 기술의 상용화를 경북 포항에서 꼭 이루어내어 지역의 일자리 창출과 국가 발전에 기여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래핀스퀘어(주)는 지난 2012년에 설립돼 CVD그래핀필름, 반도체 부품, 차세대 이차전지 부품 등을 연구개발, 생산하는 첨단나노소재 관련 업체다. 홍병희 대표이사는 포스텍 화학과 학사와 석·박사 출신이자 서울대학교 화학과 교수로 세계 최초 대면적 그래핀 합성법을 제시했고 2009년 이후 전세계 화학분야 논문 인용도 1위 연구자로 그래핀 상용화의 선구자이다.
특히, 그래핀스퀘어(주)는 지난 10월 1일 자로 경기도 수원 본사를 포항으로 이전함으로써 지난 3월 31일 업무협약 시 포항시와 한 2025년까지 본사를 포항으로 옮기겠다는 약속을 실천했으며, 이는 수도권기업의 지방 이전이라는 큰 상징성과 함께 포항시가 철강산업도시를 넘어 이차전지, 바이오, 수소연료전지 등 미래신산업의 최적지로 거듭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래핀스퀘어㈜는 반도체 노광장비에 쓰이는 극자외선(EUV)용 펠리클 소재와 2차전지 배터리 집전체 및 전극재에 그래핀을 적용해 충전용량과 속도를 높이는 기술도 개발 중이며, 디스플레이 봉지막(유기 소재를 수분과 산소로부터 보호), 방탄복에도 적용중이다.
또한, 협력사인 바이오그래핀(주)은 그래핀양자점을 이용해 퇴행성뇌신경질환, 염증성장질환, 리소좀축적질환 등을 치료하는 기술과 mRNA백신 등 약물을 전달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아울러, 오는 2025년까지 250억원을 투자해 포항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 1만 평에 그래핀 생산공장을 구축하고 대기업 가전제품과 글로벌 전기자동차업체에 그래핀 필름을 납품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1단계 100명, 2단계 200명의 인력을 신규 채용할 계획으로 총 300개의 양질의 젊은 일자리를 창출할 예정이다.
글로텍(주)은 2010년에 설립돼 충북 충주시에 본사를 둔 TV용 초박막 복합광학시트 생산 국내 1위 기업으로 삼성전자㈜와 소니TV 등에 50% 이상 납품하고 있으며 직원 150명의 튼튼한 중견기업이다.
이번 MOU를 통해 포항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 8000평에 250억원을 투자, 그래핀 이용 투명 방열 필름, 기능성 전자소재 등 다양한 차세대 제품을 생산하고 2025년까지 신규 인력 200여 명을 채용할 계획이다.
이는 ‘그래핀’ 신소재의 뛰어난 잠재력과 확장성을 보고 그래핀 기반 차세대 제품 개발과 미래신산업 발굴을 위해 포항 투자로 이어진 것이다.
한편, 꿈의 신소재 그래핀(Graphene)은 탄소(Carbon)원자들이 벌집모양으로 연결돼 단층의 평면을 이루고 있는 첨단 나노소재로 강철보다 200배 이상 강하고 실리콘, 구리보다 전자이동 속도가 100배 이상 빠르다. 또한, 다이아몬드보다 열 전도성이 2배 이상 높고 두께는 0.2nm로 종이보다 100만 배 얇으면서 탄성도가 뛰어나다.
기존의 전도성 소재와 필름재 등을 대체하고 가볍고 내구성이 강해 비행기나 자동차 등에 사용되며 특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반도체, 고효율 태양전지 등 다양한 산업에 응용돼 관련 산업의 성장을 견인할 전략적 핵심 소재로 각광 받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