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 [사진=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임기 말 대국민 소통에 나선다.
문 대통령은 21일 오후 7시 10분부터 100분간 국민들과 정책 관련 각본 없는 대화를 나눈다. 생방송에서 국민들과 직접 질의응답을 하는 것은 지난 2019년 11월 19일 '국민과의 대화' 이후 2년여 만이다.
이날 국민 패널은 KBS가 여론조사기관을 통해 선정한 300여명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여한다. 성별·연령·지역 등이 고려됐다. 이 중 200여명은 백신 접종을 완료한 국민으로 현장에 함께하고, 백신 미접종자 등 나머지 100여명은 화상으로 소통한다.
대화 주제는 '코로나 위기 극복 관련 방역과 민생경제'다. 국민 패널들은 단계적 일상회복 3주 진단과 확진자 증가 대응책, 민생경제, 포스트 코로나 등 3개 소주제별로 다양한 질문을 할 예정이다. 주제에 맞게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 등 방역·민생경제 분야 장관도 참여한다.
특히 이번 국민과의 대화는 대선 정국에 열리는 만큼 문 대통령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등 차기 대권주자 대한 언급을 할지 관심이 집중된다.
다만,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지난 19일 YTN 라디오 인터뷰에서 "선거 관련 얘기는 대통령이 언급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외에도 문재인 정부의 아킬레스건으로 꼽히는 부동산 문제와 에너지 전환정책 및 탈원전 문제, 내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한 종전선언 등이 토론 주제로 다뤄질 전망이다.
청와대는 이번 행사가 코로나로 지친 국민과의 소통의 장을 마련하고, 성공적인 단계적 일상회복을 위한 의견을 구하는 자리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임기 말에 문 대통령의 힘이 빠지는 상황에서 이번 행사를 계기로 여론을 환기하고 다시 한번 국정운영 동력을 확보하려는 의지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