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신풍제약 비자금 규모는 약 500억…“사채 시장서 자금 세탁해 오너에 전달”
신풍제약이 수백억원대의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는 가운데 신풍제약의 비자금 규모는 약 500억원에 달한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는 당초 알려진 비자금 규모 250억원보다 두배에 달하는 규모다. 뿐만 아니라 신풍의 고위 임원이 사채시장을 통해 자금을 세탁한 후 오너 일가에 전달했다는 증언도 나왔다.
경찰은 지난 24일 서울 강남구 신풍제약 본사 재무팀과 경기 안산시의 공장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경찰은 신풍제약이 의약품 원료 회사와 허위로 거래하고 원료 단가 부풀리기 등을 통해 수백억 규모의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를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과정에서 신풍제약 임원진 3명은 횡령·배임 등 혐의로 입건됐다.
이번 수사에 결정적 제보를 한 제보자에 따르면 신풍제약은 의약품 원재료 납품업체 A사와 같은 계열사인 의약품 납품 업체 B사 등과 지난 2000년대 초반부터 2010년대 중반까지 의약품 원재료 등을 거래하며 약 500억원의 비자금을 조성해왔다.
또한 신풍제약은 A사 등으로부터 의약품 원재료 등을 들여오는 과정에서 납품 단가를 뻥튀기했고 매출원가를 과대계상한 허위 세금계산서를 수취했다.
신풍제약은 A사 등에 물품대금으로 현금 대신 다른 업체로부터 받은 약속어음을 지급했다. A사 등은 신풍제약으로부터 받은 약속 어음의 일부를 신풍제약 고위 임원에게 전달했고 그 고위 임원은 약속어음을 사채시장에서 현금화해 오너에게 전달했다.
제보자는 이 고위 임원이 자금을 세탁하는 과정에서 비자금 중 일부를 횡령한 정황이 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매출원가 과대계상’ 신풍제약…분식회계 제재 가능성은?
신풍제약에 대한 경찰의 비자금 수사가 본격화되며, 향후 수사 결과에 따라 금융당국의 제재 가능성이 점쳐치고 있다.
일각에서는 수사 결과에 따라 신풍제약에 대한 분식회계나 횡령·배임 등의 의혹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금융당국의 중징계와 함께 상장폐지 실질심사 대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회계 전문가들은 신풍제약이 비자금 조성을 목적으로 매출원가를 과대계상하는 등 재무제표를 조작한 혐의가 확정된다면 고의로 인한 분식회계로 금융당국의 제재 역시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회계처리 기준 위반 발견 시 양정 기준은 위법 행위 금액 규모와 고의성 유무 등 위법 행위 동기 등에 따라 달라진다.
분식회계 여부와 상관없이 신풍제약의 수사결과 횡령과 배임 혐의가 확정되면 이 혐의만으로도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이 될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사정기관 수사 진행 상황에 따라 신풍제약에 대한 국세청의 비정기 세무조사가 또다시 이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신풍제약이 매출원가를 과대계상하는 과정에서 법인세를 탈루했을 소지가 크기 때문이다. 회사가 매출원가를 과대 계상하면 당기순이익은 과소 계상돼 법인세비용 역시 줄어들게 된다.
[단독] 중흥그룹, 12월 2일 인수 마무리…재계 20위, 건설사 3위로
중흥건설그룹이 12월 초 대우건설 인수를 위한 마지막 도장을 찍는다. M&A 절차를 마무리하면 중흥건설그룹은 건설사 3위, 재계 20위권에 들어서게 된다.
3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중흥그룹은 지난달 말 대우건설 인수를 위한 실사작업을 끝내고 인수계약을 체결하는 주식매매계약(SPA)을 12월 2일 진행할 예정이다.
인수가격은 초기 입찰가인 2조1000억원에서 2% 정도 할인한 2조500억여원에서 이뤄진다.
대우건설의 최대주주인 KDB인베스트먼트는 2019년 대우건설 지분 50.75%를 담보로 산업은행으로부터 5000억원을 차입해 이자가 계속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오프셋(가격조정 요구 상쇄) 옵션을 행사하지 않고 합의를 보는 것이 실익에 도움이 되는 만큼 빠른 인수합병 마무리가 가능했다는 분석이다.
현재 중흥그룹은 대우건설 임직원의 처우 개선을 위해 힘쓰겠다며 논의를 이어가는 중이다. 이달 초 대우건설 노조와 회동을 갖고 고용 보장과 함께 업계 상위 3개 업체 수준의 임금 인상을 제안한 바 있다. 인수가 종료 되는 대로 이같은 내용을 명문화할 계획이다.
김형 대우건설 사장은 교체될 것으로 보인다. 취임 초 인수합병 완수를 당면 과제로 안고 출발한 만큼 내년 이사회에서 사실상 퇴진 수순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