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JW중외제약]
JW중외제약이 피부질환 분야 글로벌 기업인 덴마크 레오파마에 기술수출한 아토피 신약 후보물질이 글로벌 2상에 진입했다.
JW중외제약에 따르면 레오파마는 15일 중증도에서 중증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하는 신약후보물질 JW1601의 임상 2b상 첫 환자를 등록했다고 15일 밝혔다.
JW중외제약은 지난 2018년 전임상 단계에 있는 JW1601을 레오파마에 총 4억200만 달러(한화 약 4763억원) 규모로 기술 수출한 바 있다.
JW1601은 히스타민 H4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작용해 염증과 가려움증을 억제하는 이중 작용기전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히스타민은 알레르기성 염증의 주요 매개체이며, 특히 H4 수용체는 H1~3과 달리 히스타민과 결합하면 가려움증을 유발하고, 아토피를 일으키는 면역세포의 활성화 이동을 조절한다.
이번 임상시험은 중등도~중증의 아토피 피부염을 앓고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며, 16주간 경구 투요한 후 JW1601 투약군과 위약군을 비교해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할 계획이라고 JW중외제약설명했다.
1차 평가 지표는 투약 시점에서 16주차까지의 습진중증도평가지수(Eczema Area and Severity Index·EASI) 변화다. EASI는 아토피 피부염 중증도를 평가하는 주요 척도 중 하나다.
레오파마는 JW중외제약이 수행한 임상 1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식이 영향 평가를 위한 임상을 마치고 이번 임상 2b상 시험에 착수하게 됐다. 임상은 유럽, 북미, 일본 및 호주 등에서 시행될 예정이다.
레오파마 글로벌연구개발 담당 수석인 조지 뮬러(Jörg Möller) 박사는 "경구 제형의 JW1601 전임상 시험에서 가려움증에 대한 결과가 고무적이었다"며 "피부 질환에 대한 더욱 넓은 범위의 치료 옵션과 투여경로를 필요로 하는 환자들의 삶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혁신적인 치료법을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성열 JW중외제약 대표는 "피부질환 분야 글로벌 리더인 레오파마가 JW1601의 글로벌 임상을 진행하다는 점에서 신뢰가 높다"며 "혁신적인 H4 수용체 타깃 아토피 신약 개발이 성공될 수 있도록 레오파마와의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