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의회가 지방의회 중 유일하게 종합청렴도 5등급으로 꼴찌를 기록했다. 국·공립대학 중에서는 광주과학기술원(GIST)이 연구·행정·조직문화제도에서 일제히 5등급을 기록해 부진을 면치 못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16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1년 지방의회·국공립대학·공공의료기관 청렴도' 측정 결과를 발표했다.
지방의회 청렴도는 직무 관련 공직자와 전문가, 지역주민 등 총 3만1935명이 매긴 의정활동·의회운영 점수를 바탕으로, 부패방지 노력도, 부패사건 발생현황 감점 등을 반영해 10점 만점(1~5등급)으로 평가했다.
올해 지방의회 종합청렴도 평균점수는 6.74점으로 지난해보다 0.01점 올랐다. 그러나 지난 9일 발표된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균점수(8.27점)와 비교하면 낮은 수준이다. 특히 지방의회는 2016년 이후 청렴도가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었으나, 올해는 지난해보다 낮은 점수를 받아 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권익위는 판단했다.
광역의회 17곳 중에서 서울시의회는 지난해보다 2등급 하락해 유일하게 5등급을 받았다. 의정활동과 의회운영 각각 5등급, 4등급이었다. 광역의회 중 1등급을 받은 곳은 없었고, 강원도·경상남도·경상북도·부산시·전라남도·충청남도·충청북도 의회가 2등급에 자리했다. 또 65개 기초의회 중에는 경북 김천시의회, 서울 동대문구의회, 전남 순천시의회가 종합청렴도 5등급의 불명예를 안았다.
국·공립대학 16곳의 종합청렴도 점수는 7.36점으로 지난해(34곳, 7.79점)보다 0.43점 하락했다.
광주과학기술원은 2년 연속 5등급에 머물렀다. 계약·연구·행정·조직문화제도 등 4개 항목에서 계약을 제외하고 모두 5등급을 받았다. 서울대·경북대·전북대·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4등급이었고, 1등급을 받은 국·공립대학은 없었다. 해당 설문조사에는 대학과 계약업무를 경험한 관계자, 교직원·강사·연구원·조교 및 박사 과정생 등 대학 소속 구성원 등 총 6349명이 참여했다.
공공의료기관 13곳의 종합청렴도 점수도 지난해(44곳, 7.41점)보다 0.46점 하락한 6.95점으로 집계됐다.
이 중 원자력병원만 지난해보다 2단계 상승해 1등급을 받았다. 이어 서울대병원·강원대병원이 2등급, 국립암센터·국립중앙의료원·경북대병원 등이 3등급을 기록했다. 전남대병원·충북대병원은 4등급, 부산대병원은 5등급이었다.
권익위에 따르면, 올해 국·공립대학과 공공의료기관 청렴도 조사는 코로나19 영향으로 규모가 큰 곳 위주로 축소 진행됐다. 이번 측정 결과는 권익위 홈페이지에 '공공기관 청렴지도' 형태로 공개된다.
한삼석 권익위 부패방지국장은 "일선 현장에서 국민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기관인 지방의회, 국·공립대학, 공공의료기관의 청렴도가 매우 중요한데, 6~7점대로 정체돼 있다"며 "이들 기관은 부패취약 분야를 적극적으로 개선하고, 내년부터 지방의회 독립성·자율성이 강화되는 만큼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반부패 역량 강화에 힘써달라"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