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인사제도 개편안은 직원들에게 도리어 안 좋은 제도다. 일부 직원에 동의서를 강제하는 상황이다.”
16일 서울 중구 서울지방고용노동청 앞에서 열린 삼성전자 노동조합 공동교섭단 주최 ‘고용노동부의 철저한 관리·감독 진정 접수’ 기자회견에서 이원일 전국삼성전자노조 부위원장은 이같이 밝혔다.
앞서 삼성전자는 대대적인 인사제도 개편안을 내놓은 바 있다. 주요 내용은 부사장과 전무 등 임원 직급을 통합하고, 임직원 승진 때 ‘직급별 체류기간’을 폐지하는 것이다. 연공서열을 타파하고 나이와 상관없이 성과에 따른 인사를 통해 젊은 경영진을 조기 육성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자 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삼성전자 노조는 이 같은 인사제도 개편안 관련 사측에서 인사제도 변경에 대한 동의를 강요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부위원장은 “개편 시행에 앞서 여러 방법을 통해 직원들에게 동의서를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노조 홈페이지 및 사내 게시판을 통해 이를 강제로 종용한다는 글이 매일 올라온다”며 “강압적인 분위기에 못 이겨 동의서에 서명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이날 삼성전자 노동조합 공동교섭단은 기자회견 이후 서울지방고용노동청에 ‘뉴삼성의 신 인사제도 불법적 동의 강요 관련 고용노동청의 시정명령 발동을 촉구하는 진정서’도 제출했다.
이번 진정서 제출을 맡은 서범진 금속노조 법률원 변호사는 “삼성전자가 인사제도 도입을 위해 진행하는 취업규칙 변경은 기존에 적용되던 것 대비 (노동자에게) 불이익한 상황이다”라며 “삼성전자는 노동자 과반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이 과정에서 개별 노동자들의 자율적인 동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의 인사제도 개편안은 30대 임원, 40대 최고경영자(CEO) 등 젊은 경영자를 조기 배출할 수 있는 기반 구축으로 업계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100년 기업으로 도약을 위한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앞으로도 임직원 의견을 지속 수렴해 인사제도 개선을 추진한다는 게 회사 측 입장이다.
이번 인사제도 또한 그동안 임직원 온라인 대토론회 및 계층별 의견 청취 등을 통해 혁신 방향을 마련했다는 설명이다. 이후 최종적으로 노사협의회, 노동조합 및 각 조직의 부서장과 조직문화 담당자 1000여명을 대상으로 의견을 청취해 세부 운영방안을 수립했다.
16일 서울 중구 서울지방고용노동청 앞에서 열린 삼성전자 노동조합 공동교섭단 주최 ‘고용노동부의 철저한 관리·감독 진정 접수’ 기자회견에서 이원일 전국삼성전자노조 부위원장은 이같이 밝혔다.
앞서 삼성전자는 대대적인 인사제도 개편안을 내놓은 바 있다. 주요 내용은 부사장과 전무 등 임원 직급을 통합하고, 임직원 승진 때 ‘직급별 체류기간’을 폐지하는 것이다. 연공서열을 타파하고 나이와 상관없이 성과에 따른 인사를 통해 젊은 경영진을 조기 육성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자 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삼성전자 노조는 이 같은 인사제도 개편안 관련 사측에서 인사제도 변경에 대한 동의를 강요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부위원장은 “개편 시행에 앞서 여러 방법을 통해 직원들에게 동의서를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삼성전자 노동조합 공동교섭단은 기자회견 이후 서울지방고용노동청에 ‘뉴삼성의 신 인사제도 불법적 동의 강요 관련 고용노동청의 시정명령 발동을 촉구하는 진정서’도 제출했다.
이번 진정서 제출을 맡은 서범진 금속노조 법률원 변호사는 “삼성전자가 인사제도 도입을 위해 진행하는 취업규칙 변경은 기존에 적용되던 것 대비 (노동자에게) 불이익한 상황이다”라며 “삼성전자는 노동자 과반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이 과정에서 개별 노동자들의 자율적인 동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의 인사제도 개편안은 30대 임원, 40대 최고경영자(CEO) 등 젊은 경영자를 조기 배출할 수 있는 기반 구축으로 업계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100년 기업으로 도약을 위한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앞으로도 임직원 의견을 지속 수렴해 인사제도 개선을 추진한다는 게 회사 측 입장이다.
이번 인사제도 또한 그동안 임직원 온라인 대토론회 및 계층별 의견 청취 등을 통해 혁신 방향을 마련했다는 설명이다. 이후 최종적으로 노사협의회, 노동조합 및 각 조직의 부서장과 조직문화 담당자 1000여명을 대상으로 의견을 청취해 세부 운영방안을 수립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