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게티이미지뱅크]
22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중견기업연합회(중견련)가 중견기업 416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견기업 디지털 전환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디지털 전환 대응 수준을 5단계(0~4단계)로 구분할 때 49.8%는 스스로를 가장 기초적인 1단계, 32.5%는 미추진 단계인 0단계라고 각각 평가했다. 가장 높은 수준인 4단계로 평가한 기업은 1.2%에 불과했다.
조사 대상 기업의 93.1%는 디지털 전환의 필요성을 인식하지만 실제 이를 추진하는 기업은 19.5%에 불과했다. 추진을 계획 중인 기업도 35.6%에 그쳤다.
디지털 전환 추진 과정에서 애로 사항은 투자비용 문제가 46.7%로 가장 컸다. 이어 성과에 대한 불확실성 38.4%, 전문인력 부족 32.3%, 관련 인프라 부족 23.1% 등의 순이었다.
최근 1년간 조직원이 디지털 전환 교육을 경험한 기업은 22.6%였으며, 디지털 전환 관련 정책지원을 받은 경험이 있는 기업은 7.5%였다.
중견기업들이 디지털 전환을 통해 기대하는 효과는 업무 효율화가 73.8%로 나타났다. 이어 직원 생산성 및 협업 개선(42.8%), 신규 제품 및 서비스 개발(27.1%)에 대한 기대도 컸다.
조사 대상 기업들은 디지털 전환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디지털 관련 정보제공(41.1%·복수응답 가능)을 먼저 꼽았다. 예산지원 확대가 40.6%로 그 뒤를 이었고, 시장활성화를 위한 환경조성과 전문인력 양성은 각각 30.8%와 27.6%로 집계됐다.
산업부는 내년에 디지털 혁신 중견기업 육성 사업에 20억원의 예산을 신규 편성하는 등 중견기업의 디지털 전환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