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더 강력해진 SSD 출격…고성능 서버 시장 ‘초격차’ 잇는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장문기 기자
입력 2021-12-23 11: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PCIe 5.0 첫 적용 제품, 내년 1분기 양산...전 세대 대비 주요 성능 2배씩 향상

삼성전자가 서버용 고성능 SSD(Solid State Drive) 신제품을 출격, 이 분야에서의 ‘초격차’ 강화에 나선다.

삼성전자는 PCIe 5.0 규격의 서버용 고성능 SSD ‘PM1743’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삼성전자 제품에 PCIe 5.0 규격이 적용된 것은 이 제품이 처음이다. 삼성전자는 내년 1분기부터 본격적인 신제품 양산에 나서고 이를 통해 고성능 서버 SSD 시장 확대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6세대 V낸드와 PCIe 5.0 컨트롤러가 탑재된 PM1743의 연속읽기 속도는 초당 1만3000MB(메가바이트), 임의읽기 속도는 250만IOPS(초당 입·출력 횟수)로 PCIe 4.0 기반의 제품보다 각각 1.9배, 1.7배가량 향상됐다. 연속쓰기 속도와 임의쓰기 속도 역시 초당 6600MB, 26만IOPS로 각각 1.7배, 1.9배가량 증가했다.

PM1743은 듀얼포트를 지원해 서버 운영의 안정성과 높은 가용성을 확보했다. 독립된 보안 프로세서와 보안상 신뢰할 수 있는 하드웨어 영역(신뢰점·ROT)을 내장해 기밀성과 무결성도 제공한다.

제품 효율 향상에 따른 에너지 절감 효과도 기대된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PM1743은 이전 모델인 PM1733과 비교했을 때 전력 효율이 약 30% 향상됐다. 에너지와 서버·데이터센터 운영비용을 동시에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SSD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삼성전자는 이번 신제품을 통해 시장 지배력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해 3분기 기준 글로벌 SSD 시장에서 41.2%의 점유율을 차지해 압도적인 1위를 기록했다. 서버용 SSD 시장으로 범위를 좁히면 삼성전자의 시장 점유율은 47.7%로 늘어난다.

삼성전자는 PCIe 5.0 기반의 PM1743을 통해 점유율을 더 늘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삼성전자의 행보는 글로벌 SSD 시장이 빅데이터 시대에 발맞춰 큰 폭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수의 기업을 비롯해 관공서·은행 등에서 빅데이터 분석·처리 수요가 늘어나는 가운데 고용량·신뢰성을 확보한 저장장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로 인해 디지털 전환에 속도가 붙으면서 데이터센터 시장은 더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관측된다.

옴디아에 따르면 지난해 172억 달러(약 20조4000억원) 규모의 서버용 SSD 시장은 올해 191억 달러(약 22조7000억원)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옴디아는 이 시장이 2025년에는 336억 달러(약 39조9000억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도 이런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 서버용 고성능 SSD 신제품을 시장에 선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 기술에서의 초격차를 유지해 지속적인 확대가 전망되는 시장을 계속 선도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다.

송용호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컨트롤러개발팀장(부사장)은 “삼성전자는 성능 향상과 전력 효율 개선을 위해 컨트롤러 설계의 핵심기술 차별화로 SSD 제품 경쟁력을 제고했다”며 “주요 서버, CPU 업체들과 협력을 통해 PCIe 5.0 SSD 생태계 성장을 주도하고 다가올 PCIe 6.0 시대도 이끌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삼성전자가 개발한 PCIe 5.0 기반 서버용 SSD ‘PM1743’[사진=삼성전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