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의 역사를 상징하는 포항제철소 1고로가 오늘 은퇴한다. 1고로는 지난 1973년 6월 국내에 첫 쇳물을 쏟아내며 국내 산업의 부흥을 견인했다. 포스코는 포항 1고로가 갖는 상징성을 감안해 철강역사박물관으로 재탄생시킨다는 계획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이날 경북 포항제철소에서 포항1고로 종풍식을 개최한다. 행사는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을 대신해 김학동 부회장이 주재할 예정이다.
종풍이란 고로에 뜨거운 바람을 불어넣는 것을 끝낸다는 뜻으로 이는 곧 폐쇄를 의미한다. 지난 1973년 6월 9일 국내에서 최초로 쇳물을 생산한 포항1고로는 48년 6개월간의 가동을 멈추고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포항 1고로는 첫 가동 이후 이달까지 총 5500만톤(t)의 쇳물을 생산했다. 이 쇳물은 현대중공업의 선박, 현대차의 자동차를 제조하는데 활용됐다. 가동 이후 국내 산업을 견인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첫 쇳물이 나오는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당시 고(故)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이 1고로에 직접 화입(火入)한 이후 예정된 시각에도 쇳물이 나오지 않자 임직원들은 가슴을 졸였다. 1973년 6월 9일 오전 7시30분, 첫 쇳물이 흘러나오자 현장에 있던 직원들은 만세를 부르며 국내 첫 쇳물 탄생을 자축했다.
고로는 통상 10~15년 주기로 개수를 해야만 다시 사용할 수 있다. 1고로는 48년간 가동되면서 2번의 개수를 거쳤다. 1979년 1차 개수를 진행했고 1993년 2차 개수 작업을 마쳤다. 2차 개수 이후 28년간 가동되면서 '세계 최장 조업'이라는 진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당초 포스코는 수년전부터 1고로 폐쇄를 검토해 왔다. 하지만 1고로가 노후화됐음에도 효율성이 좋아 종풍 시기를 늦췄다. 그럼에도 이산화탄소 배출 등 친환경 기조에 따라 결국 올해를 마지막으로 퇴역하게 됐다.
포스코는 포항 1고로를 철강역사박물관으로 재탄생시킨다는 계획이다. 박물관 건설은 내년 하반기부터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고로에서 불을 끈다고 해도 내부 열기가 남아 있어 다 식는데 최소 6개월 가량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철강업계에선 2023년 포스코가 철강역사박물관을 선보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이날 경북 포항제철소에서 포항1고로 종풍식을 개최한다. 행사는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을 대신해 김학동 부회장이 주재할 예정이다.
종풍이란 고로에 뜨거운 바람을 불어넣는 것을 끝낸다는 뜻으로 이는 곧 폐쇄를 의미한다. 지난 1973년 6월 9일 국내에서 최초로 쇳물을 생산한 포항1고로는 48년 6개월간의 가동을 멈추고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포항 1고로는 첫 가동 이후 이달까지 총 5500만톤(t)의 쇳물을 생산했다. 이 쇳물은 현대중공업의 선박, 현대차의 자동차를 제조하는데 활용됐다. 가동 이후 국내 산업을 견인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고로는 통상 10~15년 주기로 개수를 해야만 다시 사용할 수 있다. 1고로는 48년간 가동되면서 2번의 개수를 거쳤다. 1979년 1차 개수를 진행했고 1993년 2차 개수 작업을 마쳤다. 2차 개수 이후 28년간 가동되면서 '세계 최장 조업'이라는 진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당초 포스코는 수년전부터 1고로 폐쇄를 검토해 왔다. 하지만 1고로가 노후화됐음에도 효율성이 좋아 종풍 시기를 늦췄다. 그럼에도 이산화탄소 배출 등 친환경 기조에 따라 결국 올해를 마지막으로 퇴역하게 됐다.
포스코는 포항 1고로를 철강역사박물관으로 재탄생시킨다는 계획이다. 박물관 건설은 내년 하반기부터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고로에서 불을 끈다고 해도 내부 열기가 남아 있어 다 식는데 최소 6개월 가량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철강업계에선 2023년 포스코가 철강역사박물관을 선보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