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4/05/20220405095003627808.jpg)
LG CNS가 선발 과정을 통과해 사업화에 성공 시 연봉의 20%를 인센티브로 지급하는 사내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 '아이디어 몬스터'를 확대 운영해 디지털 전환 신사업 확대를 가속화한다.
LG CNS는 창의적 사업가를 육성하고 디지털 전환 신사업 아이디어를 발굴하기 위해 팀 선발, 1차 심사, 2차 심사, 사업화 등 4단계로 나눠 기술과 사업성을 심사하는 사내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5일 밝혔다. 이는 LG CNS의 마이데이터 서비스 '하루조각', 5G 특화망 신청 등 디지털 전환 신사업 추진 활동의 일환이다.
아이디어 몬스터를 통해 선발된 사내 스타트업 담당 직원은 연봉의 4%를 인센티브로 받고, 1차와 2차 심사를 통과할 때 각각 3%를 받는다. 실제 사업화에 성공하면 10%를 받는다. 모든 단계를 통과한 직원은 연봉의 20%를 인센티브로 받는 셈이다.
LG CNS는 사내 스타트업에 선발된 팀에 최대 10억원의 프로젝트 운영 예산도 지원한다. 사업화에 성공해 목표 매출을 달성하면 이에 연계된 인센티브도 추가로 지급할 방침이다. 마곡 본사 내 전용 업무 공간, 기술적 조언과 재무·법무 컨설팅까지 제공한다.
아이디어 몬스터는 지난 2016년부터 운영됐다. 이 프로그램으로 지능형 챗봇 제작도구 서비스 기업 단비, 인공지능(AI)·로봇프로세스자동화(RPA) 기술 기반 자동화 서비스 기업 햄프킹, 데이터 큐레이션 플랫폼 서비스 기업 폴리오컴퍼니 등이 독립했다.
단비는 최근 2년 간 매출 규모가 250% 늘었고, 챗봇을 통해 AI를 배우는 '에이아이런' 프로그램으로 교육기관 35곳의 학생 4700명에 교육을 실시했다. 햄프킹은 2020년 분사 후 현재 대기업 물류사, 제조사, 통신사, 공공기관 등 20곳을 고객사로 확보했다. 폴리오컴퍼니는 2021년 분사 후 지난 2월 7일 생활·경제 데이터를 연결해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모두의 위츠'를 선보였다.
전은경 LG CNS 정보기술연구소 상무는 "사내 스타트업은 디지털 전환 전문 기술력과 창의적 사업 아이디어를 융합해 새로운 미래 먹거리를 발굴할 수 있는 기회"라며 "창의적 조직문화와 협업 생태계를 정착시켜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