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잉원 총통은 이날 민진당 상무위원회 회의에서 IMF 자료를 언급하며 지난 2년 간 코로나로 인해 어려운 상황이 이어졌지만, 성공적인 방역으로 대만은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총통은 미래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바라봤다. 차이잉원 총통은 대만의 반도체 산업이 전 세계 공급망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가운데, 대만 산업은 상황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경쟁적 우위를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 재정 역시 상당히 안정적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전 세계 물가가 고공행진하는 가운데 경제 상황의 불확실성과 대만 내 코로나 확산 가능성 등은 문제라며, 이에 신중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5/05/20220505171910797499.jpg)
차이잉원 대만 총통[사진=로이터·연합뉴스]
앞서 민간 싱크탱크 대만경제연구원(TIER)의 장젠이 원장 역시 지난해 12월 경제 전망 발표회에서 2022년 대만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한국을 추월할 것으로 전망했다.
당시 장 원장은 "과거 대만의 투자·생산은 수출만을 위한 것이어서 국제 경기 하강기에 대만이 큰 상처를 입었지만 코로나19 이후 대만은 내수와 수출 두 개의 날개로 비행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