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의 고용에 상대적으로 더 큰 충격을 안겼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3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코로나19가 2020년 취약계층 직장유지율에 미친 영향'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한경연은 한국복지패널을 사용해 코로나19가 2020년 취약계층의 직장유지율에 미친 영향을 삼중차분법(Difference in Difference in Difference)을 활용한 패널회귀분석으로 살펴봤다. 직장유지율은 현재 일자리(직장)를 가지고 있는 근로자가 다음 연도에도 일자리를 유지하고 있는 비율 혹은 확률을 의미한다. 소득계층의 구분은 한국복지패널에서 제공하는 경상소득을 기준으로 소득 하위층(저소득층), 소득 중위층, 소득 상위층 등으로 나누었다.
코로나19가 2020년 저소득층의 직장유지율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코로나19는 저소득층(소득 하위층)의 직장유지율을 약 8.4%포인트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중위층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 직장유지율이 약 3.2%포인트 줄었으나, 소득 상위층의 경우에는 코로나19로 인한 직장감소율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즉,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충격은 소득이 낮은 계층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이를 실직자 대비 비율로 환산하면 2020년 소득 하위층에서 실직자 10명 가운데 약 4명은 코로나19로 인해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분석됐다. 소득 중위층의 경우 실직자 10명 가운데 약 3명이 코로나19로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는 2020년 청년층의 직장유지율을 약 4.3%포인트, 여성의 직장유지율도 약 3.5%포인트 감소시킨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남성의 직장유지율에는 코로나19가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 한 것으로 분석됐다.
산업별로는 코로나19가 2020년 숙박 및 음식점업에서의 직장유지율을 약 8.4%포인트 감소시켰고,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의 경우에는 직장유지율이 약 8.8%포인트 줄었다.
실직자 대비 비율로 환산하면 청년이나 여성 등 취약계층에서도 2020년 실직자 10명 가운데 3명이 코로나19로 인해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분석됐다. 숙박 및 음식점업의 경우에는 실직자 10명 가운데 약 3명이 코로나19의 영향을 받았고,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의 경우에는 실직자 10명 가운데 무려 5.5명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 관계자는 "고용위기가 닥치면 가장 손쉽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은 취약계층에 대한 정부의 직접일자리 제공이지만 이는 막대한 재원이 들 뿐 아니라 연속성도 담보할 수 없어 주의할 필요가 있다"며 "고용경직성·고용규제 완화, 고용 인센티브 확대 등을 통해 민간부문에서의 일자리 창출 가능성을 제고시킬 수 있도록 노동시장 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3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코로나19가 2020년 취약계층 직장유지율에 미친 영향'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한경연은 한국복지패널을 사용해 코로나19가 2020년 취약계층의 직장유지율에 미친 영향을 삼중차분법(Difference in Difference in Difference)을 활용한 패널회귀분석으로 살펴봤다. 직장유지율은 현재 일자리(직장)를 가지고 있는 근로자가 다음 연도에도 일자리를 유지하고 있는 비율 혹은 확률을 의미한다. 소득계층의 구분은 한국복지패널에서 제공하는 경상소득을 기준으로 소득 하위층(저소득층), 소득 중위층, 소득 상위층 등으로 나누었다.
코로나19가 2020년 저소득층의 직장유지율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코로나19는 저소득층(소득 하위층)의 직장유지율을 약 8.4%포인트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중위층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 직장유지율이 약 3.2%포인트 줄었으나, 소득 상위층의 경우에는 코로나19로 인한 직장감소율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즉,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충격은 소득이 낮은 계층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코로나19는 2020년 청년층의 직장유지율을 약 4.3%포인트, 여성의 직장유지율도 약 3.5%포인트 감소시킨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남성의 직장유지율에는 코로나19가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 한 것으로 분석됐다.
산업별로는 코로나19가 2020년 숙박 및 음식점업에서의 직장유지율을 약 8.4%포인트 감소시켰고,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의 경우에는 직장유지율이 약 8.8%포인트 줄었다.
실직자 대비 비율로 환산하면 청년이나 여성 등 취약계층에서도 2020년 실직자 10명 가운데 3명이 코로나19로 인해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분석됐다. 숙박 및 음식점업의 경우에는 실직자 10명 가운데 약 3명이 코로나19의 영향을 받았고,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의 경우에는 실직자 10명 가운데 무려 5.5명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 관계자는 "고용위기가 닥치면 가장 손쉽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은 취약계층에 대한 정부의 직접일자리 제공이지만 이는 막대한 재원이 들 뿐 아니라 연속성도 담보할 수 없어 주의할 필요가 있다"며 "고용경직성·고용규제 완화, 고용 인센티브 확대 등을 통해 민간부문에서의 일자리 창출 가능성을 제고시킬 수 있도록 노동시장 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