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은행이 올 상반기에만 당기순이익을 1056억원이나 올렸다며 자화자찬하는 가운데, 속속 드러나는 은행의 부적절한 행태에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무엇보다 코로나19 장기화로 가뜩이나 어려운 서민과 중소기업을 상대로 한 장사는 뛰어난 수완을 발휘하면서, 회수를 장담할 수 없는 대규모 대출에는 적극적으로 나서는 상식 밖의 행보를 보이고 있다.
전북은행은 최근 전국은행연합회(회장 김광수)가 공시한 2022년 8월 한 달 동안의 평균 가계예대금리차에서 지난 7월에 이어 전국 16개 시중은행 중 가장 높은 금리차를 보였다.
전북은행의 가계예대금리차는 5.66%p에 달했다. 7월의 6.33%p에 비해 낮아졌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반면 우리은행과 신한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가계예대금리차는 1%p대에 그쳤다.
시중은행 중 전북은행 다음으로 금리차가 큰 은행은 전북은행의 지주회사인 JB금융지주의 계열사인 광주은행(4.39%p)이었다.
또한 전북은행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대출을 취급하면서 금융 상품을 끼워 파는 이른바 ‘꺾기’ 거래에도 빠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박재호 의원(더불어민주당, 부산남구을)이 금융감독원으로 제출받은 ‘중소기업 대상 은행별 대출 꺾기 의심거래 현황’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 동안 전북은행의 꺾기 의심거래는 총 1만7263건, 금액으로는 1745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5년 동안 매년 3452건의 꺾기 의심거래를 해온 셈이다.
올해에도 상반기까지 전북은행의 꺾기 의심거래는 670건, 103억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꺾기’란 은행들이 대출을 해주는 조건으로 적금 등 상품 가입을 강요하는 불건전 구속성 행위로, 은행법은 대출 고객의 의사와 관계없이 대출 실행일 전후 1개월 내 판매한 예·적금, 보험, 펀드, 상품권 등의 월 단위 환산금액이 대출금액의 1%를 초과하는 경우 꺾기로 간주하고, 이를 규제하고 있다.
하지만 30일이 지난 이후에 가입하는 금융상품은 위법이 아니기 때문에 한 달간의 금지기간을 피하는 편법 영업을 하고 있는 만큼, 31일부터 60일 사이 금융상품에 가입하면 구속성 금융상품 의심거래로 보고 있다.
이에 앞서 전북은행은 지난 2020년 4월부터 6월까지 시행된 코로나19 소상공인 대출과 관련해 총 5595건의 대출 가운데 신용카드 같은 금융상품을 끼워파는 꺾기의 비율이 무려 60%(3337건)에 이른 적이 있다.
이처럼 전북은행은 소비자에게는 까다로운 대출 문턱을 들이대고, 중소기업에는 ‘울며 겨자 먹기’ 식의 대출을 일삼으면서도, 회수를 장담키 어려운 대출에는 물 쓰듯 한 것으로 밝혀졌다.
국회 강민국 의원(국민의힘, 진주을)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태양광 발전 시설 설치 필요자금 대출 상품 판매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북은행은 2017년부터 올해 7월까지 6529건, 1조3557억원 규모의 태양광 발전 시설 설치 필요자금 대출상품을 판매했다.
전북은행의 태양광 대출 규모는 같은 기간에 이뤄진 전체 은행의 대출 2조3773억원의 57.0%에 달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전북은행의 대출 잔액은 올 7월 기준 1조530억원으로, 전체 대출잔액 1조8058억원 가운데 58.3%를 차지했다.
이 자료에 의하면 전북은행이 태양광과 관련해 대출한 금액 중 3027억원만 회수한 것이다.
강민국 의원은 “아직도 대출잔액이 1조원 이상 남아 있고, 이는 사업 부실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될 수도 있다“며 “금융위원회와 산업통상자원부, 해당 지자체 등 관련 부처 합동으로 태양광 발전 설비에 대한 금융, 발전 등에 대한 총체적 관리 감독 점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밖에 전북은행은 국회 윤창현 의원(국민의힘·비례)이 은행연합회 사회공헌활동 보고서와 금융감독원 공시 실적 등을 바탕으로 분석한 19개 은행의 지난해 당기 순이익 대비 사회공헌금액 비율이 11.28%로, 6개 지방은행 가운데 3위에 그쳤다.
아주경제는 이에 대한 전북은행의 입장을 듣기 위해 문자를 통해 홍보실에 문의했지만, 전북은행은 답을 주지 않았다.
무엇보다 코로나19 장기화로 가뜩이나 어려운 서민과 중소기업을 상대로 한 장사는 뛰어난 수완을 발휘하면서, 회수를 장담할 수 없는 대규모 대출에는 적극적으로 나서는 상식 밖의 행보를 보이고 있다.
전북은행은 최근 전국은행연합회(회장 김광수)가 공시한 2022년 8월 한 달 동안의 평균 가계예대금리차에서 지난 7월에 이어 전국 16개 시중은행 중 가장 높은 금리차를 보였다.
전북은행의 가계예대금리차는 5.66%p에 달했다. 7월의 6.33%p에 비해 낮아졌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시중은행 중 전북은행 다음으로 금리차가 큰 은행은 전북은행의 지주회사인 JB금융지주의 계열사인 광주은행(4.39%p)이었다.
또한 전북은행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대출을 취급하면서 금융 상품을 끼워 파는 이른바 ‘꺾기’ 거래에도 빠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박재호 의원(더불어민주당, 부산남구을)이 금융감독원으로 제출받은 ‘중소기업 대상 은행별 대출 꺾기 의심거래 현황’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 동안 전북은행의 꺾기 의심거래는 총 1만7263건, 금액으로는 1745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5년 동안 매년 3452건의 꺾기 의심거래를 해온 셈이다.
올해에도 상반기까지 전북은행의 꺾기 의심거래는 670건, 103억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꺾기’란 은행들이 대출을 해주는 조건으로 적금 등 상품 가입을 강요하는 불건전 구속성 행위로, 은행법은 대출 고객의 의사와 관계없이 대출 실행일 전후 1개월 내 판매한 예·적금, 보험, 펀드, 상품권 등의 월 단위 환산금액이 대출금액의 1%를 초과하는 경우 꺾기로 간주하고, 이를 규제하고 있다.
하지만 30일이 지난 이후에 가입하는 금융상품은 위법이 아니기 때문에 한 달간의 금지기간을 피하는 편법 영업을 하고 있는 만큼, 31일부터 60일 사이 금융상품에 가입하면 구속성 금융상품 의심거래로 보고 있다.
이에 앞서 전북은행은 지난 2020년 4월부터 6월까지 시행된 코로나19 소상공인 대출과 관련해 총 5595건의 대출 가운데 신용카드 같은 금융상품을 끼워파는 꺾기의 비율이 무려 60%(3337건)에 이른 적이 있다.
이처럼 전북은행은 소비자에게는 까다로운 대출 문턱을 들이대고, 중소기업에는 ‘울며 겨자 먹기’ 식의 대출을 일삼으면서도, 회수를 장담키 어려운 대출에는 물 쓰듯 한 것으로 밝혀졌다.
국회 강민국 의원(국민의힘, 진주을)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태양광 발전 시설 설치 필요자금 대출 상품 판매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북은행은 2017년부터 올해 7월까지 6529건, 1조3557억원 규모의 태양광 발전 시설 설치 필요자금 대출상품을 판매했다.
전북은행의 태양광 대출 규모는 같은 기간에 이뤄진 전체 은행의 대출 2조3773억원의 57.0%에 달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전북은행의 대출 잔액은 올 7월 기준 1조530억원으로, 전체 대출잔액 1조8058억원 가운데 58.3%를 차지했다.
이 자료에 의하면 전북은행이 태양광과 관련해 대출한 금액 중 3027억원만 회수한 것이다.
강민국 의원은 “아직도 대출잔액이 1조원 이상 남아 있고, 이는 사업 부실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될 수도 있다“며 “금융위원회와 산업통상자원부, 해당 지자체 등 관련 부처 합동으로 태양광 발전 설비에 대한 금융, 발전 등에 대한 총체적 관리 감독 점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밖에 전북은행은 국회 윤창현 의원(국민의힘·비례)이 은행연합회 사회공헌활동 보고서와 금융감독원 공시 실적 등을 바탕으로 분석한 19개 은행의 지난해 당기 순이익 대비 사회공헌금액 비율이 11.28%로, 6개 지방은행 가운데 3위에 그쳤다.
아주경제는 이에 대한 전북은행의 입장을 듣기 위해 문자를 통해 홍보실에 문의했지만, 전북은행은 답을 주지 않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