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10/31/20221031085140738473.jpg)
인도네시아 하나은행은 31일 인도네시아 소재 물리아 호텔에서 한국무역협회 자카르타지부와 함께 현지에 진출한 한국 기업인을 위한 '2023 경제 전망 세미나'를 개최했다. 박종진 인도네시아 하나은행장(왼쪽에서 여섯 번째)이 세미나에 참석한 경제계 인사 및 경제전문가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하나은행]
인도네시아 하나은행은 한국무역협회(무협) 자카르타지부와 현지에 진출한 한국 기업인을 위한 ‘2023 경제 전망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31일 밝혔다.
하나은행은 인도네시아에서 활동 중인 우리 기업인들을 위해 불투명한 경제상황 속에서 경제 현안을 분석하고 위기 극복을 위한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현지 기업 활동에 도움을 주기 위해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세미나에는 현지 경제계 인사, 경제전문가와 현지, 한국 기업인 등 약 500여명이 참석했다. 강연자로는 무하마드 차팁 바스리 인도네시아 전 재무부 장관, 페브리오 나탄 까짜리부 재무부 재정·정책 위원장, 정유탁, 강미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 등이 참여했다.
차팁 바스리 전 장관은 글로벌 경제위기가 인도네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 정부 정책, 내수 경제, 원자재, 무역흑자 기조 등을 주제로 인도네시아의 강점과 연관해 전망을 제시했다.
정유탁, 강미정 연구위원은 글로벌 경제 주요 현안과 함께 인도네시아 내 외국인 투자환경 개선, 신(新) 수도 프로젝트, 글로벌 공급망 재편 가속화 등의 기회요인, 신흥국 금융시장 변동성, 원자재 가격변동성, 대(對) 중국 의존도 등 위협 요인을 차례로 분석했다.
홍유영 한국무역협회 관세사는 ‘한·인니 CEPA(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 대응 및 활용’을 주제로 한 강연을 통해 내년 초 발효될 예정인 ‘한·인니 CEPA’의 활용법 및 현지에서 발생 가능한 문제에 대해 다양한 사례를 중심으로 한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박종진 인도네시아 하나은행장은 “우리 기업인들이 이번 세미나를 통해 불확실한 경제상황 속에서 미래를 준비하는 밑거름이 됐기를 바란다”며 “인도네시아 하나은행은 현지 리딩 금융파트너로서 손님들과 함께 위기를 극복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하나은행은 인도네시아에서 활동 중인 우리 기업인들을 위해 불투명한 경제상황 속에서 경제 현안을 분석하고 위기 극복을 위한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현지 기업 활동에 도움을 주기 위해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세미나에는 현지 경제계 인사, 경제전문가와 현지, 한국 기업인 등 약 500여명이 참석했다. 강연자로는 무하마드 차팁 바스리 인도네시아 전 재무부 장관, 페브리오 나탄 까짜리부 재무부 재정·정책 위원장, 정유탁, 강미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 등이 참여했다.
차팁 바스리 전 장관은 글로벌 경제위기가 인도네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 정부 정책, 내수 경제, 원자재, 무역흑자 기조 등을 주제로 인도네시아의 강점과 연관해 전망을 제시했다.
홍유영 한국무역협회 관세사는 ‘한·인니 CEPA(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 대응 및 활용’을 주제로 한 강연을 통해 내년 초 발효될 예정인 ‘한·인니 CEPA’의 활용법 및 현지에서 발생 가능한 문제에 대해 다양한 사례를 중심으로 한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박종진 인도네시아 하나은행장은 “우리 기업인들이 이번 세미나를 통해 불확실한 경제상황 속에서 미래를 준비하는 밑거름이 됐기를 바란다”며 “인도네시아 하나은행은 현지 리딩 금융파트너로서 손님들과 함께 위기를 극복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