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 42.7%는 올해 글로벌 원자재 가격이 상승(매우 상승 4.7%, 다소 상승 38.0%)할 것으로 예측했다.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보는 기업은 29.3%, 다소 하락할 것으로 전망한 기업은 28.0%였다.
원자재 가격이 오를 것으로 전망한 기업들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 장기화'(28.1%)와 ‘팬데믹 리스크 감소에 따른 수요 확대'(28.1%), ‘미국 긴축 지속으로 인한 환율 상승 우려'(26.6%) 등을 주된 이유로 꼽았다. ‘탄소중립 및 친환경 트렌드에 따른 신규 수요 증가'(9.4%), ‘각국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원자재 확보 부담 증가'(4.7%) 등이 뒤를 이었다.
원자재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한 이유는 ‘세계적인 경기 침체 예상'(54.8%)이 가장 많이 지목됐다. 경기 침체로 산업 수요가 감소해 원자재 가격이 내려갈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어 ‘현재 원자재 가격 수준이 너무 높음'(28.6%),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 감소'(9.5%) 순이었다.
기업들은 공급망에서 가장 우려되는 위험요소로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원가 상승 등 원자재 가격 변동'(29.2%)과 ‘금리 인상, 환율 변동성 등 금융·외환의 불안정성'(17.2%)을 꼽았다. 전경련은 기업들이 올해 원자재 가격 변동을 가장 큰 공급망 리스크로 보고 있기 때문에 원자재 가격 상승이 이뤄지면 공급망 불안이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 밖에 기업들은 공급망 대응을 위해 ‘공급처 다양화를 통한 재료·부품 조달'(37.7%), ‘공급망 전담 조직 및 인력 강화'(15.4%) 등에 나서고 있었다. 일부 기업은 공급망 불안 해소를 위해 ‘해외에 있는 생산‧사업 거점의 국내 유턴 검토'(13.3%)에 착수했다. 가장 필요한 정책 지원으로는 ‘물류 애로 완화 및 운임 안정화 지원'(28.2%), ‘수급처 다변화를 위한 거래처 정보 제공 및 지원'(22.0%), ‘금융·외환시장 변동성 완화 조치'(14.6%) 등이 꼽혔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기업들은 올해 가장 큰 공급망 리스크로 원자재 가격 변동을 꼽고 있다”면서 “원자재 가격 상승이 공급망 충격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세심한 모니터링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