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서비스로 확산돼 자리를 잡고 있는 AI(인공지능)와 챗봇이 주목 받고 있다.
병·의원에 있어 챗봇은 인건비 절감 및 경영 효율 제고, 접수율 및 내원율 향상을 통한 매출 상승 등으로 이어진다. 환자에게도 챗봇은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여주는 대표적인 비대면 서비스로 자리 잡고 있어 의료 업계의 챗봇 도입은 필수 불가결한 선택이 되고 있다.
365일 24시간 환자와 비대면으로 소통할 수 있는 메이크봇 챗봇 서비스는 별도 앱 설치 없는 카카오톡 기반의 서비스다. 예약·접수·수납 등의 처리가 가능해 재확산 되고 있는 코로나19에도 대처할 수 있다.
15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톡을 이용해 1차 병원부터 3차병원, 제약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헬스케어 챗봇 사업을 벌이는 국내 사업자로 메이크봇이 꼽힌다.
카카오 공식 파트너인 인공지능 기반 AI 전문 기업 메이크봇은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주요 EMR(전자의무기록) 업체와의 연동을 통해 다양한 병·의원 비대면 서비스를 제공한다.
톡스앤필, 메이퓨어의원, 유앤아이의원, 누베베한의원, 바노바기 등 국내 주요 피부과, 성형외과, 한의원 등 수백여 전문 병·의원에서 메이크봇을 도입 중이다. 최근 메이크봇은 서비스가 진료 예약을 넘어 접수, 문진, 대기호출, 상담, 건강 관리, 환자 관리 등 병·의원 서비스 전반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이 덕분에 주요 전문 병·의원 뿐만 아니라 강남세브란스병원, 양지병원, 제주한국병원, 적십자병원 등 2, 3차 이상 종합병원에서의 서비스 도입도 이뤄지고 있다.
메이크봇은 병의원 외에도 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 GSK, 노보노디스크, 한국에자이, 안국약품 등 유수한 국내외 제약사들의 마케팅 강화 및 이용자 편의성 향상을 위한 AI 챗봇 구축으로도 확장되고 있다.
수많은 헬스케어 산업 벤더들 중 제약사의 경우 내부 직원들을 위한 MR(영업사원)용 챗봇을 구축해 시간,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자사 제품 정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업무 효율을 높인다.
제약사에서는 한정된 회원만 이용이 가능하게끔 회원 데이터와 입력 데이터 간의 검증 기술을 적용한 의사 회원 전용 챗봇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어 보안 체계를 지니고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일반 이용 고객을 위한 제약사 고객 챗봇 채널은 고객 인증 및 담당 의료 인력(간호사 등) 매칭 등을 통해 성장호르몬제와 호흡기 등 다양한 제품에 대한 투약 주기 알림 등의 서비스를 하고 있다.
김지웅 메이크봇 대표는 “메이크봇H는 각 분야의 전문 병원 및 대학·종합 병원에서 본격적으로 도입함에 따라 매월 10만명 이상의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다”며 “최근 챗GPT 등 신기술 적용에 따른 챗봇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져 미래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가치가 충분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