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1996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후 처음으로 2년 연속 회원국 평균에도 못 미치는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OECD와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우리 경제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 분기 대비 0.4%(속보치) 감소해 2020년 2분기 이후 10분기 만에 역성장했다. OECD 회원국 평균 성장률(0.3%)을 크게 밑돌았다.
현재까지 분기 성장률이 발표된 29개국 중 폴란드(-2.4%), 리투아니아(-1.7%), 오스트리아(-0.7%), 스웨덴(-0.6%)에 이어 다섯째로 낮은 수준이다.
한국 경제의 분기별 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 0.6%, 2분기 0.7%로 각각 OECD 회원국 평균인 0.2%와 0.5%보다 높았다. 그러나 3분기 0.3% 성장에 그쳐 OECD 평균(0.4%) 이하로 떨어졌고 4분기에도 마이너스 성장을 했다.
지난해 연간 성장률 역시 2.6%에 그쳐 OECD 평균 성장률(2.9%)을 밑돌았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1996년 OECD 가입 후 처음으로 2년 연속 회원국 평균에 못 미치는 성장을 기록했다. 우리나라 성장률이 OECD 평균보다 낮았던 건 1998년(-5.1%)과 2021년(4.1%), 2022년(2.6%) 등 세 번에 불과하다.
우리 경제가 OECD 평균 성장률 달성도 버거운 저성장 체제로 굳어지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문제는 올해 전망이 더 우울하다는 점이다.
한국은행은 최근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7%에서 1.6%로 하향 조정했다. 정부 전망치도 1.6%로 같다.
OECD는 지난해 11월 우리나라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8%, OECD 평균을 0.8%로 각각 제시한 바 있다. 이후 우리 경제의 하방 리스크는 커진 반면, OECD를 주도하는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의 경제는 예상보다 견조한 흐름을 보이는 중이다.
아시아개발은행(ADB·1.5%), LG경영연구원(1.4%), 주요 해외 투자은행 9곳(평균 1.1%)도 올해 성장률이 정부 전망치보다 나쁠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 경제의 둔화 속도가 빨라질 경우 올해까지 3년 연속 OECD 평균에 못 미치는 성장을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최근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하반기 이후에는 (우리 경제) 성장세가 점차 나아질 것으로 전망된다"면서도 "주요국의 통화정책, 중국 경제의 회복 상황, 국내 부동산 경기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큰 것 또한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