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금융지주사들이 이달 중순부터 주주총회 시즌에 돌입한다. 금융당국이 공정한 최고경영자(CEO) 선임과 이사회 독립성 강화, 과도한 이자수익을 빌미로 업계에 압박을 가하자, 대대적인 사외이사 교체와 주주환원정책이 이번 주총의 주요 이슈로 떠올랐다.
7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권 주주총회가 이달 셋째주부터 월말까지 연달아 개최된다. 정기 주총 첫 타자는 BNK금융지주로 오는 17일 부산은행 본점에서 개최된다. 이후 23일 신한금융지주, 24일에 KB금융지주와 우리금융지주 주총이 예정돼 있다. JB금융지주는 30일 개최한다. 하나금융지주와 NH농협금융지주, DGB금융지주도 이달 중으로 주총을 연다는 계획이다.
현재 금융권의 최대 관심사는 금융지주 사외이사 조직의 재정비다. 일반적으로 금융권 사외이사는 결격 사유가 없을 경우 최초 임기 2년에 1년 연임 방식으로 최대 임기 6년을 채워왔다. 그러나, 올해는 연임 대신 ‘물갈이’ 가능성에 힘이 실린다.
금융당국은 ‘주인 없는 회사’인 금융지주 수장들의 제왕적 지배구조 배경에 거수기 이사회가 자리잡고 있다고 보고, 수장들의 대대적인 교체뿐 아니라 이사회 개편 필요성에 힘을 싣고 있기 때문이다.
지주사들이 주주환원 확대 요구에 얼마나 부응할지도 관심사다. 주요 금융지주사들은 지난해 이자수익이 40조원에 육박하는 등 역대급 실적을 거두면서 주주환원정책에 대한 기대감도 커진 상황이다. 이에 대해 금융당국은 과도한 주주환원정책이 은행권 충당금 적립 및 공공성 이슈와 상충될 수 있다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와 반대로, 행동주의펀드는 금융권을 상대로 주주환원 확대 요구에 나서고 있다는 점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최근 금융사의 '돈 잔치' 논란을 명분으로 당국이 금융사를 향해 지배구조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겠다고 밝히면서 금융사들도 이에 적극 부응하고 있는 추세"라며 "다만 금융권 지배구조와 예대마진에 이르기까지 '관치금융'에 대한 우려와 외국인 투자자 이탈은 주가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만큼 당국 압박에도 주주들을 달랠 수 있는 주주환원정책 방향성 또한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