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사태에 이어 14일(현지시간) 발표된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 예상대로 크게 둔화한 것으로 파악됨에 따라, 내달 예정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에서도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이라는 분위기가 힘을 얻고 있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은 금통위는 오는 4월 11일 개최될 예정이다. 한은은 앞서 열린 지난 2월 금통위에서 1년 간의 기준금리 인상 행렬을 멈추고 동결 결정을 내린 바 있다.
전날 공개된 2월 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이창용 총재가 "안개가 심할 때는 차를 세워야 한다"고 언급한 것처럼 금통위원 대다수가 물가·성장 등 국내외 경제여건 전개 상황을 점검해야 한다며 추가 금리 인상에 신중한 입장을 드러냈다.
특히 통화긴축이나 완화를 선호하는 위원 모두 기준금리 결정에 있어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는데 입장을 같이 했다. 이 총재는 당시 "금통위원 6명 중 5명이 최종금리를 3.75%까지 올릴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고 언급해 다음 금통위에서의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두기도 했다.
시장에서는 이번 SVB 사태로 미국이 향후 빅스텝과 같은 과감한 통화긴축은 물론 금리 인상 사이클 역시 올 상반기 중 중단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예상하고 있다. 당초 6%까지 치솟던 미국 최종금리 전망치 또한 5~5.25% 수준으로 눈에 띄게 낮아졌다. 박창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오는 22일로 예정된 3월 FOMC 결과 0.25%포인트 추가 금리 인상 단행이 큰 이슈가 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며 "대신 금융시장은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 내용에 더욱 주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한 이날 발표된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도 연준 통화긴축 강화에 힘을 빼는 데 일조하면서 이같은 시각에 힘을 싣고 있다. 미 CPI는 전년 동월 대비 6.0% 상승률을 기록해 전월(6.4%)보다 낮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이번 수치는 지난 2021년 9월 이후 최저 수준이기도 하다. 변동성이 높은 식품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근원 CPI' 상승률도 1월 5.6%에서 2월 5.5%로 떨어져 2021년 말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일단 한은 입장에서는 미 연준의 긴축강화 기조에 브레이크가 걸리면서 한미 기준금리 격차 확대 등의 부담을 덜 수 있게 됐다. 현재 한미 간 기준금리는 1.25%포인트(역대 최대 격차 1.5%포인트)수준이다. 연준이 당초 예고한 대로 빅스텝에 나섰다면 양국 간 격차는 1.75%포인트에 달해 환율 충격과 외화자금 유출 등 시장불안 리스크가 점철됐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물가 상승률 둔화와 막대한 가계대출 규모에 따른 고금리 이자부담 상승 리스크는 양국 간 금리 역전차 확대에도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을 주저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해왔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연준의 '속도조절'에 따라 한은 역시 일단 다음달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유력하게 점쳐지고 있고 이 같은 시장 관측이 국채금리 하락세에 반영된 것"이라며 "다만 국내 기준금리 결정은 조만간 발표될 연준의 금리 인상폭과 SVB 사태의 여파, 국내 물가 등을 지켜보며 결정할 가능성은 커 아직 확정적 판단을 내리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