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는 21일 이런 내용을 담은 ‘경기GPT 추진 계획(로드맵)’을 발표하고 이달부터 즉각 시행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도에 따르면 ‘경기GPT’는 내부적으로는 행정의 효율화를 달성하고, 외부적으로는 도민과 산업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도 실정에 맞게 ‘생성형 인공지능(AI)기술’을 활용하는 정책과 시스템을 말하며 도는 인공지능 콜센터 같은 행정서비스 도입,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예술교육과 전시회 같은 사업에 GPT를 도입하고 하반기에는 GPT 등 관련 미래기반 산업 육성을 위해 500억원 규모의 펀드 조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 계획에 따라 도는 우선 행정1부지사를 단장으로 하는 ‘경기GTP 전담조직(TF)’을 구성해 이달 말 전체 회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가장 소외된 사람들을 포함해 모든 사람이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사회라는 목표 속에 진행될 방침이며 도내 장애인 단체(시설)와 연계해 전문 강사가 참여하는 AI 활용 교육을 운영하고, 장애인들의 디지털 또는 실물 작품을 전시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는 구상으로 이달부터 참가 인원 모집에 들어가 이르면 5월 말 쯤 전시회를 열 전망이다. .
현장 목소리를 청취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AI)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도내 인공지능(AI)기업, 관련 대학, 연구기관 등이 참여하는 「GPT 산학연관협의체」를 발족하고 간담회를 추진한다.
특히 하반기 조성 목표인 ‘(가칭) 미래성장펀드’는 도내 생성형 인공지능(GPT), 빅데이터 등 미래기반 산업 분야 유망 새싹 기업 등을 대상으로 약 500억원 규모의 자금을 조성해 지원하는 내용이다. 경기도가 50억 원을 출자하고 나머지 450억 원을 민간에서 유치하는 방법으로 펀드를 만들어 투자할 예정이다. 펀드 조성과 더불어 도는 GPT)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관련 새싹 기업 등을 대상으로 투자설명회(IR데이)도 진행할 계획을 수립했다.
현재 관련 연구가 진행 중으로 도는 2024년부터 인공지능 기반의 경기도형 콜센터 시스템 개발용역에 착수, 노인이나 장애인 등 나이와 신체의 장벽 없이 누구나 음성이나 단어를 통해서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무장애(Barrier-free) 민원 서비스도 추진된다.
이 밖에도 정책보고서, 프리젠테이션 작성, 자료조사 등에도 GPT를 도입해 도는 현재 진행 중인 ‘GPT 제안 공모’를 통한 아이디어를 반영해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아울러 인공지능 시대 법령개선과 사회윤리 문제 등에 대응하기 위해 입법 연구를 하는 한편 연구포럼, 국회 토론회 등을 통해 공론화 과정도 추진하고 도민들을 위한 챗GPT 활용 교육, 공직자들을 위한 공직 분야 활용방안, 기업을 위한 기업 활용 분야 교육 등을 도입해 GPT 시대에 선도적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경기GPT는 경기도를 전 세계 인공지능 수도로 만들어 대한민국을 인공지능 강국으로 이끌기 위한 첫걸음”이라면서 “일자리 불안, 격차 확대, 윤리적 논란 등 문제점도 적극적으로 보완해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