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어린이들이 방울토마토를 먹고 구토를 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었다. 이에 정부가 조사를 한 결과 토마토에 있는 성분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30일 농림축산식품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덜 익은 토마토에 있는 '토마틴'이라는 성분 때문일 수도 있다고 발표했다.
토마틴은 토마토 생장기에 나오는 물질로, 성숙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분해된다.
하지만 충남농업기술원 등 전문가들은 올해 첫 출시된 특정 품종(등록번호 'HS2106') 방울토마토가 올해 초 평년보다 낮은 온도에 노출되며 토마틴이 유독 많이 생성됐고, 충분히 익혔음에도 토마틴 성분이 남아 쓴맛과 구토 등을 유발한 것이라고 추정했다.
즉 해당 품종은 평년보다 많이 추웠던 날씨 때문에 토마틴이 많이 생성돼 문제가 됐던 것.
정부는 해당 품종 외 다른 토마토에는 아무 문제가 없다고 전했다. 또한 이번 구토 증상과 인과관계가 있는 특정 토마토 재배농가 3개 중 2개 농가에 대해 일시적 출하 제한 조치 명령과 자진 회수를 명령했다.
한편, 어린이집과 유치원 등 급식으로 방울토마토를 먹고 구토 등 식중독 증상을 보였다는 신고에 식약처가 조사에 나섰고, 해당 품종이 HS2106임을 확인했다.
30일 농림축산식품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덜 익은 토마토에 있는 '토마틴'이라는 성분 때문일 수도 있다고 발표했다.
토마틴은 토마토 생장기에 나오는 물질로, 성숙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분해된다.
하지만 충남농업기술원 등 전문가들은 올해 첫 출시된 특정 품종(등록번호 'HS2106') 방울토마토가 올해 초 평년보다 낮은 온도에 노출되며 토마틴이 유독 많이 생성됐고, 충분히 익혔음에도 토마틴 성분이 남아 쓴맛과 구토 등을 유발한 것이라고 추정했다.
정부는 해당 품종 외 다른 토마토에는 아무 문제가 없다고 전했다. 또한 이번 구토 증상과 인과관계가 있는 특정 토마토 재배농가 3개 중 2개 농가에 대해 일시적 출하 제한 조치 명령과 자진 회수를 명령했다.
한편, 어린이집과 유치원 등 급식으로 방울토마토를 먹고 구토 등 식중독 증상을 보였다는 신고에 식약처가 조사에 나섰고, 해당 품종이 HS2106임을 확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