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된 의료기기 혁신 성장포럼에 모인 산업계·학계·정부 전문가들은 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시장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의료기기 시장은 2021년 기준 9조1314억원으로, 5년 전 대비 3조원가량 늘었다. 5년 동안 연평균 성장률은 10.2%에 달한다.
시장의 성장과는 달리 국산 대체율은 미미하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조사에 따르면 종합병원급 이상의 국산 의료기기 사용률은 18.9%에 머무르고 있다.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11.3%로 더 낮았다. 업력이 길고 자본력이 강한 글로벌 기업들에 밀려, 국내 기업이 자리를 잡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의료기기 무역수지는 2020년 2조6041억원, 2021년 3조7490억원 흑자를 기록했다. 그러나 의료기기 상당수가 진단기기로 코로나19 엔데믹 이후로는 상승세를 장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2020년부터 시작된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이 2025년 일몰 예정이다. 정부는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등으로 사업단을 구성해 6년간 1조1971억원의 사업비를 투입, 유망한 의료기기 기업의 연구개발과제를 선정·지원해왔다. 지난해까지 총 368개 과제가 사업단의 지원을 받았다.
의료기기의 국산 점유율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국내 의료진의 신뢰를 얻는 것이 급선무다.
구성욱 연세대 의료기기산업학과 교수는 “우수한 국산 제품이 있어도, 의료진의 사용 경험이 없어 제품의 품질과 성능을 신뢰하지 못하는 분위기”라며 “병원과 기업의 컨소시엄을 구성해 의료진의 임상평가를 축적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선경 식품의약품안전처 의료기기위원회 민간위원장도 "의료기기 개발 단계부터 의료진을 참여시켜 제품에 대한 선호도를 높여야 한다”고 했다.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도 필요하다.
김현주 복지부 보건산업진흥과장은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을 지속하기 위해 올해부터 예비타당성 조사를 준비하고 있다”며 “지원이 단절되지 않도록 2026년부터 바로 2기 사업에 돌입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