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4.5%를 기록했다. 제로코로나 방역정책 철폐 후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가 반영된 결과다. 하지만 경기 회복세가 견조하지 않은 데다가 대외 수요 부진 등 불확실성이 큰 만큼, 중국 경기 회복세가 지속되려면 추가 부양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리오프닝 후 소비 폭발" 1분기 4.5% 성장률 실현
중국 국가통계국은 18일 지난 1분기 중국 GDP가 28조4997억 위안(약 5467조384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앞서 로이터 등이 예상한 4%를 훌쩍 웃도는 것으로, '제로코로나' 정책 일환으로 '경제수도' 상하이를 봉쇄하기 직전인 지난해 1분기(4.8%)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제로코로나 봉쇄 충격으로 2분기 0.4%까지 고꾸라졌으며, 이후에도 3분기 3.9% 4분기 2.9% 등 좀처럼 4%대를 회복하지 못했다.
1분기 중국 경기 회복세를 주도한 것은 소비다. 중국의 3월 소매판매 증가율은 10.6%로 두 자릿수 증가세를 나타내며, 앞서 1~2월 증가율인 3.5%를 훌쩍 웃돌았다. 앞서 블룸버그 시장 예측치는 7.5%였다.
같은 기간 산업생산은 3.9% 증가하며, 앞서 1~2월 2.4% 증가율을 상회했다. 다만 시장 전망치인 4.4%는 밑돌았다.
생산·소비와 함께 중국 경제의 3대 축인 투자는 예상 밖으로 소폭 둔화했다. 중국의 1~3월 인프라 투자와 민간설비 투자 등이 반영되는 고정자산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5.1% 증가했다. 시장 예상치인 5.7%는 물론, 앞서 1~2월 증가율 5.5%보다 낮다. 특히 1~3월 부동산 개발 투자는 5.8% 하락하며 앞서 1~2월(-5.7%)보다 낙폭을 키웠다.
중국 도시실업률은 5.3%로, 전달의 5.6%에서 낮아졌다. 다만, 16~24세 청년실업률은 19.6%로, 2월 18.1%를 훌쩍 웃돌았다.
이는 앞서 로이터 등이 예상한 4%를 훌쩍 웃도는 것으로, '제로코로나' 정책 일환으로 '경제수도' 상하이를 봉쇄하기 직전인 지난해 1분기(4.8%)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제로코로나 봉쇄 충격으로 2분기 0.4%까지 고꾸라졌으며, 이후에도 3분기 3.9% 4분기 2.9% 등 좀처럼 4%대를 회복하지 못했다.
1분기 중국 경기 회복세를 주도한 것은 소비다. 중국의 3월 소매판매 증가율은 10.6%로 두 자릿수 증가세를 나타내며, 앞서 1~2월 증가율인 3.5%를 훌쩍 웃돌았다. 앞서 블룸버그 시장 예측치는 7.5%였다.
같은 기간 산업생산은 3.9% 증가하며, 앞서 1~2월 2.4% 증가율을 상회했다. 다만 시장 전망치인 4.4%는 밑돌았다.
생산·소비와 함께 중국 경제의 3대 축인 투자는 예상 밖으로 소폭 둔화했다. 중국의 1~3월 인프라 투자와 민간설비 투자 등이 반영되는 고정자산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5.1% 증가했다. 시장 예상치인 5.7%는 물론, 앞서 1~2월 증가율 5.5%보다 낮다. 특히 1~3월 부동산 개발 투자는 5.8% 하락하며 앞서 1~2월(-5.7%)보다 낙폭을 키웠다.
중국 도시실업률은 5.3%로, 전달의 5.6%에서 낮아졌다. 다만, 16~24세 청년실업률은 19.6%로, 2월 18.1%를 훌쩍 웃돌았다.
견조하지 않은 회복세···추가 부양책 기대감도
국가통계국은 "1분기 전염병 방역 기조가 빠르게 전환함에 따라 성장·고용·물가 안정화 대책이 선제적으로 효과를 내면서 국민 경제가 안정적인 회복세로 양호한 시작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다만 "국제환경은 여전히 복잡 다변하고 국내 수요 부진도 뚜렷한 제약을 받고 있다며, 경기 회복세가 아직 견고하지 않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실제로 3월 들어 소비·생산 모두 2월과 비교해서는 각각 0.15%, 0.12% 늘어나는 데 그쳤고, 투자 증가세도 둔화하고 청년실업률도 심각한 만큼, 경기 회복세가 앞으로 계속 이어질지 불확실하다는 진단이다. 외부 수요 둔화가 중국 수출과 제조업 활동에 타격을 가하는 데다가 부동산 경기 회복세도 불안한 상황에서, 중국이 올해 목표치로 설정한 5% 안팎 성장률을 실현하기는 쉽지 않음을 보여줬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가통계국은 지난해 기저효과로 올해 중국 경제는 2분기에 1분기보다 더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3·4분기 들어 다시 둔화할 것으로도 전망했다.
아이리스 팡 ING 중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경제매체 CNBC에 "중국이 인프라 투자와 소비를 늘리기 위해 추가 부양책을 발표할 것"으로 기대했다. 그는 2분기 중국 GDP 증가율을 6%, 올 한해 전체 성장률을 5%로 관측했다.
중국은 일단 1분기 경제 성적표를 지켜보고, 추후 경기 회복세를 예의주시하며 추가 통화정책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전날 기준금리 잣대가 되는 1년 만기 중기유동성대출(MLF) 입찰금리를 2.72%로 그대로 유지했다. 이에 따라 오는 20일 발표하는 사실상의 기준금리인 1년물 대출우대금리(LPR)도 기존의 3.65%를 유지하며 8개월째 동결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3월 들어 소비·생산 모두 2월과 비교해서는 각각 0.15%, 0.12% 늘어나는 데 그쳤고, 투자 증가세도 둔화하고 청년실업률도 심각한 만큼, 경기 회복세가 앞으로 계속 이어질지 불확실하다는 진단이다. 외부 수요 둔화가 중국 수출과 제조업 활동에 타격을 가하는 데다가 부동산 경기 회복세도 불안한 상황에서, 중국이 올해 목표치로 설정한 5% 안팎 성장률을 실현하기는 쉽지 않음을 보여줬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가통계국은 지난해 기저효과로 올해 중국 경제는 2분기에 1분기보다 더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3·4분기 들어 다시 둔화할 것으로도 전망했다.
아이리스 팡 ING 중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경제매체 CNBC에 "중국이 인프라 투자와 소비를 늘리기 위해 추가 부양책을 발표할 것"으로 기대했다. 그는 2분기 중국 GDP 증가율을 6%, 올 한해 전체 성장률을 5%로 관측했다.
중국은 일단 1분기 경제 성적표를 지켜보고, 추후 경기 회복세를 예의주시하며 추가 통화정책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전날 기준금리 잣대가 되는 1년 만기 중기유동성대출(MLF) 입찰금리를 2.72%로 그대로 유지했다. 이에 따라 오는 20일 발표하는 사실상의 기준금리인 1년물 대출우대금리(LPR)도 기존의 3.65%를 유지하며 8개월째 동결될 가능성이 높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