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항시가 경상북도 소방본부의 경북안전체험관 부지 공모 계획 발표에 따른 시민 의견 청취와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25일 전문가 자문단 회의를 개최하고 있다. [사진=포항시]
특히 포항시와 포항시의회, 포항시민단체는 강력하게 반발하고 나섰으며 구미시, 안동시, 영주시, 상주시, 청송군 등은 부지 공모에 총력전으로 가세하며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안동시 경상북도 안전체험관 총력 유치전. (0) (1)[사진=안동시]
이날 회의에는 11.15 촉발 지진 범시민대책위원회와 11.15 지진 지열발전 연구 공동연구단 및 대학교수, 변호사, 시민단체 대표 등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됐으며, 시민들은 경북안전체험관 공모에 큰 관심을 보였다.
포항시는 촉발 지진 발생 이후 5년 간 피해 지역에 경북안전체험관을 건립하기 위해 행정안전부 및 경북도와 세부적으로 협의한 내용을 공유했다.
더구나, 국책 사업 추진 과정에서 정부의 관리 부실로 지역에 큰 피해가 발생했으며, 포항지진피해구제법상 국가 등이 피해 지역에 안전교육 시설을 설치하도록 규정돼 있는 만큼 경북안전체험관이 반드시 포항에 건립돼야 한다고 당위성을 설명했다.

청송군 경상북도 안전체험관 유치 결의 대회. [사진=청송군]
양만재 11.15 지진 지열발전 연구 공동연구단 부단장은 “포항은 11.15 촉발 지진과 태풍 힌남노 등 잇따른 재난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며, “경북안전체험관은 대형 재난이 발생한 도시에 최우선 건립돼야 한다”고 말했다.
강창호 포항시 개발자문위원연합회장은 “포항은 공항과 항만, 고속도로, 철도 등 사통팔달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어 도내 어디에든 쉽게 접근할 수 있다”며, “스페이스워크와 스카이워크, 영일대해수욕장, 청소년 수련원 등 관광 및 교육 체험 시설과 연계가 가능해 경북안전체험관 건립의 최적지다”고 밝혔다.
예현지 법률사무소 예율대표는 “정부와 국회가 특별법까지 제정해 구체적인 근거를 마련했고, 경북도가 관계 부서 회의를 거쳐 공문으로 부지를 포항으로 확정했다면 그 약속은 반드시 이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