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영수 전 특검. [사진=연합뉴스]
11일 법조계에 따르면 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부장검사 엄희준)는 박 전 특검의 공범이자 최측근으로 알려진 양재식 변호사를 이르면 이번 주 초 소환해 검찰이 대장동 민간업자에게서 최근 확보한 진술의 사실 여부를 확인할 전망이다.
검찰은 다수의 대장동 민간 개발업자에게서 ‘박 전 특검 측이 대장동 컨소시엄 구성 지원 대가를 먼저 요구했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한 상태다. 정영학 회계사 외에 그간 진술을 거부해 온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씨도 최근 검찰에 양 변호사가 지난 2014년 11월 컨소시엄 구성 준비 과정에서 이들 업자들에게 박 전 특검에게 무엇을 해줄 수 있는지 등을 물어봤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전 특검 측이 컨소시엄 구성 지원과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청탁의 대가로 민간업자들에게 200억원 상당의 토지와 건물을 먼저 요구했다는 것이다.
검찰은 최근 수사 과정에 대해 “박 전 특검이 대장동 개발사업 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한 부분과 관련해 사건의 실체에 다가가고 있다”고 자평한 바 있다. 박 전 특검이 컨소시엄 구성 지원을 위한 영향력 행사와 대가 등을 요구했다는 검찰의 논리를 어느 정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진술과 물증을 확보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검찰은 당시 실무를 담당한 것으로 알려진 양 변호사를 우선 조사하고 이르면 이번주 박 전 특검에 대한 소환 조사에도 들어갈 예정이다. 박 전 특검과 양 변호사를 일괄 조사하거나 대질시킬 가능성도 점쳐진다. 검찰은 대장동 일당과 은행권 관계자들에게서 확보한 진술을 토대로 컨소시엄 구성 지원에 대한 대가를 요구했었는지 여부와 대출의향서 발급과정에서 이들의 개입 정도 등을 확인할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