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가 자사 AI 코딩 교육 플랫폼 'AI 코디니'에 대화형 강사 기능 'AI 튜터'를 도입했다고 20일 밝혔다. 어린이들이 AI 튜터 서비스로 블록 코딩 강좌를 듣고 있다. [사진=KT]
KT가 자사의 인공지능(AI) 코딩 교육 플랫폼에 AI 강사 기능을 도입한다. AI 강사는 사용자가 묻는 질문에 답하거나, 퀴즈를 제시하는 등 교육을 돕는다.
20일 KT는 교육 플랫폼 'AI 코디니'에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대화형 서비스 'AI 튜터'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AI 코디니는 블록을 쌓는 것처럼 코딩 원리를 배울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다. 블록은 각종 기능을 구현한 코드로 구성돼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결합해 원하는 AI 서비스 구현 방식을 배울 수 있다.
여기에 새로 도입된 AI 튜터는 음성 인식 기술(STT), 음성 합성 기술(TTS), 대화 처리 기술 등을 복합적으로 활용해 사용자와 음성으로 대화한다. 사용자가 학습 과정에서 대화하듯 질문하면 이에 대한 답을 말해준다. 사용자에게 퀴즈를 제시해, 이를 맞추면 격려의 말도 음성으로 전달한다.
실시간으로 질문과 답을 주고받을 수 있어, 보충학습이나 심화교육도 가능하다. AI 튜터는 블록 코딩 지도, 문제 풀이 추가 해설, 자주 묻는 질문 등 다양한 학습 가이드를 제시해, 사용자의 빠른 이해를 돕는다.
KT 측은 AI 튜터 서비스를 통해 실제 강사와 대화하는 것처럼 학습 수준에 맞는 강좌를 들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시간과 공간 제약 없이 사용자 일정에 따라 언제든 학습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AI 튜터는 현재 코디니 초급 강좌에서 지원하며, 향후 중급과 고급 등 16개 강좌로 확대한다.
김봉기 KT 융합기술원 컨버전스연구소장은 "AI 튜터가 사용자에게 실제와 유사한 학습 환경을 제공한다. 향후 AI를 활용한 교육 사업 활성화에도 기여할 전망"며 "공교육 시장의 다양한 교과목에도 AI 튜터가 보조교사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20일 KT는 교육 플랫폼 'AI 코디니'에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대화형 서비스 'AI 튜터'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AI 코디니는 블록을 쌓는 것처럼 코딩 원리를 배울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다. 블록은 각종 기능을 구현한 코드로 구성돼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결합해 원하는 AI 서비스 구현 방식을 배울 수 있다.
여기에 새로 도입된 AI 튜터는 음성 인식 기술(STT), 음성 합성 기술(TTS), 대화 처리 기술 등을 복합적으로 활용해 사용자와 음성으로 대화한다. 사용자가 학습 과정에서 대화하듯 질문하면 이에 대한 답을 말해준다. 사용자에게 퀴즈를 제시해, 이를 맞추면 격려의 말도 음성으로 전달한다.
실시간으로 질문과 답을 주고받을 수 있어, 보충학습이나 심화교육도 가능하다. AI 튜터는 블록 코딩 지도, 문제 풀이 추가 해설, 자주 묻는 질문 등 다양한 학습 가이드를 제시해, 사용자의 빠른 이해를 돕는다.
김봉기 KT 융합기술원 컨버전스연구소장은 "AI 튜터가 사용자에게 실제와 유사한 학습 환경을 제공한다. 향후 AI를 활용한 교육 사업 활성화에도 기여할 전망"며 "공교육 시장의 다양한 교과목에도 AI 튜터가 보조교사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