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에서 "농식품 분야는 최근 정보통신기술, 인공지능 등을 활용해 스마트농업, 푸드테크 등으로 고부가가치화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추 부총리는 "순수 민간 펀드 3000억, 민간·정부 매칭펀드 1조원 등 농식품 분야 전용 펀드를 조성해 청년 농업인과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농협 등 민간 금융기관이 4조3000억원의 여신을 집중적으로 공급하도록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비농업인이 농업 경영체의 설립자나 임원으로 참여해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제를 개선하고, 오는 7월 농식품 스타트업 투자박람회를 개최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그러면서도 그는 "여전히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에너지 가격 변동성 등 우리 경제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추 부총리는 이에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최근의 일부 긍정적 흐름이 우리 경제의 빠르고 강한 반등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수출·투자 활성화에 총력을 기울이는 동시에 우리 산업의 수출 경쟁력을 한층 더 강화하고 기업이 투자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정책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했다.
추 부총리는 이날 또다른 안건으로 논의한 '순환 경제 활성화를 위한 산업 성장 전략'과 관련해선 "순환경제를 우리 산업에 빠르게 확산시켜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폐기물의 순환이용 등 순환경제는 탄소중립 달성의 핵심수단이자 새로운 성장모델로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추 부총리는 "철강, 석유화학 등 주요 산업에서 순환경제 역량이 수출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이 확대되고 있다"며 "철스크랩, 사용 후 배터리 등 경제성 있는 폐자원에 대해 개별기업의 신청 없이 폐기물 규제가 면제되는 순환자원으로 일괄 지정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폐자원 활용 수요가 있는 대기업과 중소 공급기업 간 기술협력을 촉진하고 처리 시설에 대한 공동투자를 지원하는 등 폐자원을 가공한 원료의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겠다고도 밝혔다. 폐플라스틱도 정유공정 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석유 사업법도 개정할 방침이다.
추 부총리는 이와 함께 "양자, 핵융합, 합성생물학 등 딥사이언스 분야의 연구개발(R&D) 성과를 활용한 창업과 사업화를 적극 지원하겠다"며 "연구자는 기술개발에 집중하고, 사업 관리는 전문경영인에게 맡기는 협력형 창업 R&D 지원 프로그램을 신설·운영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기술이전을 통해 창업에 기여한 연구자들이 현금 외에도 주식 등으로 기술료를 지급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며 “민간기술거래기관도 공정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성과배분체계를 개선하겠다"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