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정부기관과 국유기업이 사용하는 사무기기와 정보기술(IT) 시스템에 자국 기업 제품만 사용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7일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국무원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가 지난해 9월 정부기관과 국유기업 정보 시스템의 전면적 국산화를 2027년까지 완료할 것을 내부 문서로 통보했다고 보도했다.
이른바 ‘79호 문서’로 불리는 이 문서는 정부 기관과 국유기업이 올해 1월부터 3개월마다 국산화 진전 상황을 위원회에 보고하도록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산화 대상은 컴퓨터와 복합기 등 사무기기와 서버, 이메일, 파일 시스템 등이다.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위원회는 79호 문서를 구두로 설명하도록 했고 수기 자료로 전달한 경우 나중에 자료를 회수했다. 해당 문서는 위원회 홈페이지에도 공개되지 않았다. 요미우리는 이에 대해 “외국 기업을 배제한다는 외국의 비판을 피하기 위해 증거를 남기지 않으려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중국은 정보를 국가 안보의 하나로 규정하고 있어 자체 기술력으로 고성능 IT 제품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을 갖추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정부기관과 국유기업에 국산 제품의 사용을 지시하는 것도 이런 차원에서다.
중국의 국산화 목표는 △공산당과 정부가 국산 제품을 사용해 자국 기업 기술력 향상과 중견 브랜드 육성을 도모 △국산화를 금융·통신·전력·석유·교통·항공우주·교육·의료의 ‘8대 중요 업계’로 확대 △모든 업계의 전면적 국산화 실현의 3단계로 나뉜다.
미국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중국 국유 은행들은 이미 정보 시스템 관련 조달 과정에서 IBM이나 어도비 등 미국 기업의 제품을 쓰지 않고 있다.
요미우리신문은 “(국산화 움직임은) 앞으로 민간에까지 뻗어갈 것이 뻔하고, 이는 외국 제품이 중국 시장에 참여할 여지가 더욱 좁아지는 걸 의미한다”며 “중국이 향후 이 분야에서 자국 기업의 세계 시장 점유율 확대를 노린다는 관측도 나온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이 같은 움직임은 그동안 대외적으로 개방을 내세웠던 입장과는 상반된 행보다.
중국은 외국기업을 국내 기업과 차별하지 않을 것을 규정한 세계무역기구(WTO)의 정부조달협정에 가입 의사를 보이고 15년 넘게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 정부 조달의 대외 개방을 추진하는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저(TTP)에도 가입을 신청한 상태다.
'시진핑 집권 3기' 이후 당국은 ‘대외적으로 높은 수준의 개방’을 천명하고, 고위 관료들은 최근 외자 유치를 위해 외교전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외교 사령탑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은 6일 일본국제무역촉진협회 회장 자격으로 중국을 찾은 고노 요헤이 전 관방장관과 회동하며 일본 기업들의 중국 투자를 환영하는 메시지를 보냈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7일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국무원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가 지난해 9월 정부기관과 국유기업 정보 시스템의 전면적 국산화를 2027년까지 완료할 것을 내부 문서로 통보했다고 보도했다.
이른바 ‘79호 문서’로 불리는 이 문서는 정부 기관과 국유기업이 올해 1월부터 3개월마다 국산화 진전 상황을 위원회에 보고하도록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산화 대상은 컴퓨터와 복합기 등 사무기기와 서버, 이메일, 파일 시스템 등이다.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위원회는 79호 문서를 구두로 설명하도록 했고 수기 자료로 전달한 경우 나중에 자료를 회수했다. 해당 문서는 위원회 홈페이지에도 공개되지 않았다. 요미우리는 이에 대해 “외국 기업을 배제한다는 외국의 비판을 피하기 위해 증거를 남기지 않으려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중국의 국산화 목표는 △공산당과 정부가 국산 제품을 사용해 자국 기업 기술력 향상과 중견 브랜드 육성을 도모 △국산화를 금융·통신·전력·석유·교통·항공우주·교육·의료의 ‘8대 중요 업계’로 확대 △모든 업계의 전면적 국산화 실현의 3단계로 나뉜다.
미국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중국 국유 은행들은 이미 정보 시스템 관련 조달 과정에서 IBM이나 어도비 등 미국 기업의 제품을 쓰지 않고 있다.
요미우리신문은 “(국산화 움직임은) 앞으로 민간에까지 뻗어갈 것이 뻔하고, 이는 외국 제품이 중국 시장에 참여할 여지가 더욱 좁아지는 걸 의미한다”며 “중국이 향후 이 분야에서 자국 기업의 세계 시장 점유율 확대를 노린다는 관측도 나온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이 같은 움직임은 그동안 대외적으로 개방을 내세웠던 입장과는 상반된 행보다.
중국은 외국기업을 국내 기업과 차별하지 않을 것을 규정한 세계무역기구(WTO)의 정부조달협정에 가입 의사를 보이고 15년 넘게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 정부 조달의 대외 개방을 추진하는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저(TTP)에도 가입을 신청한 상태다.
'시진핑 집권 3기' 이후 당국은 ‘대외적으로 높은 수준의 개방’을 천명하고, 고위 관료들은 최근 외자 유치를 위해 외교전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외교 사령탑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은 6일 일본국제무역촉진협회 회장 자격으로 중국을 찾은 고노 요헤이 전 관방장관과 회동하며 일본 기업들의 중국 투자를 환영하는 메시지를 보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