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현실적 방안 '바이오에탄올'···완성차·항공업계도 투자 '속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권가림 기자
입력 2023-07-11 18:2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바이오에탄올이 수송부문의 탄소중립을 위한 현실적인 대안으로 지목된다. 2030년 국내 자동차 시장은 내연기관차가 여전히 6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제조 과정에서의 탄소 배출이 탄소중립 발목을 잡을 수 있어 바이오 연료의 활용 방안을 더욱 확대해야 한다는 전망이 나온다. 

한국자동차기자협회와 주한미국대사관, 미국곡물협회가 11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 서울 누리볼룸에서 개최한 '2023 친환경연료 국제 심포지엄'에서 바이오에탄올 도입 필요성이 강조됐다. 

글로벌 탄소중립 규제는 갈수록 강화되고 있다. 미국은 2030년까지 km당 56g의 탄소를 줄이기로 했다. km당 43g의 감축안을 목표로 뒀다. 한국은 km당 70g 감축안에서 최근 50g으로 규제를 강화했다. 한국의 2030년 전기차·수소차 판매목표 비중은 33.3%다. 내연기관차의 비중은 65%로 자동차 시장에서 캐시카우 역할을 할 전망이다. 

전기나 수소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탄소 배출이 증가하는 점은 걸림돌로 꼽힌다. 또 전기차 보급이 확대된다고 해도 전기가 화력발전으로부터 오기 때문에 탄소 감축 효과를 내지 못할 수 있다. 결국 전기차 확대 전략과 함께 바이오에탄올 활용을 병행해야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된다. 

미국과 유럽연합(EU), 일본, 중국 등을 비롯한 세계 60개국에서 바이오에탄올을 도입하고 있다. 북미 바이오 연료 시장 점유율은 42%로 이어 라틴 아메리카(24%), 유럽(16%) 순이다. 특히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바이오 연료 사용에 따른 세제 혜택안도 포함시켰다. 스텔란티스와 닛산 등 완성차업체는 바이오 에탄올·가솔린 연료 차량의 생산을 확대하거나 바이오 연료만으로 주행하는 친환경차를 개발하고 있다. EU는 2035년 이후 합성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차의 판매와 등록은 가능하도록 했다. EU는 2050년까지 SAF 의무혼합 비중 목표를 60%, 영국은 75%로 두면서 델타와 유나이티드 항공 등 항공업계에서의 지속가능항공유(SAF) 사용도 확대되고 있다. 

한국도 신재생에너지 연료 의무혼합제도(RFS)에 바이오에탄올을 서둘러 포함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RFS 제도는 기존 화석연료(경유)에 바이오연료를 일정 비율 혼합해 공급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다. 바이오에탄올 원료의 생산부터 최종 자동차의 연소에 이르는 전주기 분석 결과 바이오에탄올이 휘발유보다 약 44~46%의 탄소 배출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 로렌즈 글로스 에너지 수석부사장은 "에탄올의 높은 옥탄가를 활용하면 연료비용을 대폭 낮출 수 있고 휘발유보다도 저렴해 석유무역 적자 역시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자동차기자협회와 주한미국대사관 미국곡물협회 관계자들이 11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 서울 누리볼룸에서 열린 2023 친환경연료 국제 심포지엄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권가림 기자
한국자동차기자협회와 주한미국대사관, 미국곡물협회 관계자들이 11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 서울 누리볼룸에서 열린 '2023 친환경연료 국제 심포지엄'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권가림 기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