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더위에 취약한 어르신과 현장 근로자 등 취약계층 보호와 피해 최소화에 집중한다.
시는 우선 폭염상황관리 태스크포스(TF)를 중심으로 폭염 상황을 수시 점검하고 있다.
폭염특보 발효 시에는 9개 부서 20개 동으로 구성된 폭염 대응 특별팀을 즉시 가동하고 시 전역에 살수차 9대를 운영한다.
올해만 3억 9000만원을 투입해 그늘막 62개소를 추가 설치했고 현재 시 전역에 설치된 그늘막은 총 401개소에 달한다.
무더위쉼터는 353개소 운영 중이며 경로당과 노인복지관, 카네이션하우스 등 노인여가시설과 사회복지관, 도서관, 체육관과 마을공유공간 등을 활용하고 있다.
특히 더위에 취약한 어르신들이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이곳에서 보낸다.
시는 무더위쉼터에 냉방비 150만원을 추가 지원했다. 시민이 많이 이용하는 금융기관과 보건소, 행정복지센터 등을 활용해 양산대여소도 5개소 운영 중이다.
야외 무더위 쉼터 2개소에서는 생수와 부채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이동근로자와 야외근로자, 취약계층의 안전도 더 면밀히 챙긴다.
시는 취약계층에 쿨매트 1200개를 지원했다. 논밭 작업자들에게는 냉방물품 300개를 지급했고 수시로 재난 문자를 통해 폭염 야외활동 자제를 당부하고 있다.
신천역 4번 출구에 시가 조성한 이동노동자 쉼터 ‘온마루’도 무더위에 지친 이동노동자(대리운전, 택배, 퀵서비스, 학습지교사 등)들에게 소중한 휴식공간이다.
안마의자와 충전기 등 편의시설이 조성돼 있고 민생경제법률상담센터도 함께 운영해 무료 법률 및 노무 상담 서비스도 이용 가능하다.
연제찬 시흥시 부시장은 3일 오후 거모5통 경로당과 물왕1통 경로당 무더위쉼터에 방문해 현장 상황을 점검했다.
쉼터 환경과 냉방기기 등을 전반적으로 살피고 개선 사항은 없는지 어르신들의 의견을 청취했다.
연 부시장은 “연일 이어지는 폭염으로 인해 전국 곳곳에서 온열환자가 발생하고 있다”며 “특히 취약계층의 안전에 신경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폭염으로 인한 시민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더 촘촘한 대응체계 구축에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시흥시 무더위 쉼터의 위치와 운영시간은 국민재난안전포털 전국 ‘쉼터’ 에서 확인할 수 있다.
◆ ‘1인 가구 안부살핌 서비스’ 시범 운영.
경기 시흥시는 고독사 예방을 위해 지난 1일부터 내년 1월 말까지 고독사 위험 1인 가구 600세대를 상시 모집해 ‘안부살핌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다.앞서 지난달 21일 시는 한국전력공사와 고독사 예방을 위한 ‘1인 가구 안부살핌 서비스’ 계약을 맺었다.
‘1인 가구 안부살핌 서비스’ 사업은 전력 사용량 및 통신 데이터를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해 평상시와 다르게 전기 사용량이 없으면 동 복지담당자에게 알림을 송신해 대상자의 안부를 확인하는 서비스다.
신청 대상자는 안전과 고립의 위험이 있는 1인 가구다.
서비스를 원하는 대상자는 거주지 동 행정복지센터에 문의 후 필요한 서류를 제출해서 신청하면 된다.
6개월 시범 운영 기간 서비스를 모니터링하고 내년에 정식 채택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앞으로도 다양한 사업을 통해 고독사를 예방하고 복지안전망을 강화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