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3~5일 현지 군수공장을 시찰한 자리에서 소총을 만져보며 테스트해보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3~5일 중요군수공장을 시찰하고 "전쟁준비를 완성하는 데 있어 공장이 중요한 책임과 임무를 담당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오는 21~24일 한·미연합 군사연습과 연계돼 실시되는 우리 정부의 '을지연습'을 겨냥한 맞대응 성격의 현지 지도 가능성이 제기된다.
조선중앙통신은 6일 "김 위원장이 사흘간 대구경 방사포탄 생산공장을 비롯한 중요 군수공장들을 현지 지도하면서 당의 군수공업정책의 핵심목표 수행정형을 요해(파악)했다"고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초대형 대구경 방사포탄, 저격무기, 전략순항미사일 및 무인공격기 엔진, 미사일 발사대차 생산공장을 집중적으로 둘러봤다.
통신은 "김 위원장이 생산공장을 시찰하고, 공장경영사업에서 제기되는 문제들과 새로운 탄종을 계열생산하기 위한 능력조성사업 등 국방경제사업의 중요방향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은 "생산공정 전반에 대대적으로 새로운 설비들과 측정장치들을 도입해 정밀가공 능력을 제고하고 자동화를 실현했으며 노동환경 조건을 비약적으로 일신"하는 등 공장이 이룬 기술·생산공정 현대화 사업을 높이 평가했다.
특히 그는 "(북한) 군대의 전쟁준비를 더욱 완성해 나가는 데서 공장이 담당하고 있는 중요한 책임과 임무"를 강조하고 "(북한) 국방공업의 발전성과 현대성을 상징하는 본보기 공장 앞에 나서는 당면과업과 전망과업수행을 위한 방도들을 밝혀줬다"고 통신은 덧붙였다.
이어 김 위원장은 새로운 계열의 저격무기 생산실태를 파악하고 "변화된 전쟁양상에 맞게 인민군대 전선부대들과 유사시 적후에서 무장투쟁을 하게 될 부대들이 휴대할 저격무기를 현대화하는 것은 전쟁 준비에서 가장 중차대하고 시급한 문제"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경량화와 집중성 보장은 저격 무기개발과 생산의 기본핵심 지표"라며 "(북한) 군인들의 체질적 특성과 전투적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게 새로운 형식, 새로운 구경의 저격무기들을 만들어낼 데 대한 강령적인 과업을 제시"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아울러 통신은 "김 위원장이 전략순항미사일과 무인공격기 발동기(엔진) 생산공장도 현지 지도했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은 "무기체계구성에서 핵심요소로 되는 발동기의 성능과 믿음성을 부단히 제고하고 생산능력을 급격히 확대해 나가기 위한 방도적 문제들을 구체적으로 가르쳐줬다"고 통신은 언급했다.
특히 그는 "발동기 제작에 필요한 각종 자재보장 대책을 확고히 앞세워 발동기 생산에서의 속도와 질과 량을 다 같이 철저히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