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7일 열린 2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초거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사업 다각화 청사진을 공개했다. 초거대 AI를 클라우드로 제공하는 것은 물론, 애플리케이션 개발 환경(API)을 제공하는 기업용 구독 서비스도 마련한다. 특히 KT와 그룹사의 사업과 서비스 전반에 이를 적용해 소비자 대상(B2C) 사업도 고도화할 계획이다.
김영진 KT 최고재무책임자(CFO)는 "KT가 추구하는 초거대 AI는 고객을 생각하고, 감성을 이해하고, 기억하며, 공감하는 AI다. 기업 대상(B2B) 시장에서도 고객사가 자사 맞춤형 특화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는 AI 모델을 지향하고 있다"고 밝혔다.
초거대 AI 기반 사업 모델에 대해선 크게 세 가지를 들었다. 먼저 현재 매출이 발생하고 있는 사업은 AI와 클라우드를 접목한 AI 컨택센터(AICC)다. AICC는 인공지능 기반 고객 접점으로, 기존 고객센터 대비 상담사의 업무 효율성과 상담 고객의 만족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김 CFO는 "대기업에겐 구축형 AICC, 중소 사업자에겐 에이센 클라우드 등으로 서비스를 구성하고 있으며, 중장기적으로는 B2C와 B2B를 연결하는 AI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사업자가 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향후 AI 사업은 API 개방 통해 B2B 고객에게 믿음(KT 초거대 AI) 플랫폼을 제공하고, 이용료 수익 내는 모델을 구상하고 있다. 또한 KT와 그룹사의 상품과 서비스에 초거대 AI를 적용하고 B2C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김영진 KT 최고재무책임자(CFO)는 "KT가 추구하는 초거대 AI는 고객을 생각하고, 감성을 이해하고, 기억하며, 공감하는 AI다. 기업 대상(B2B) 시장에서도 고객사가 자사 맞춤형 특화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는 AI 모델을 지향하고 있다"고 밝혔다.
초거대 AI 기반 사업 모델에 대해선 크게 세 가지를 들었다. 먼저 현재 매출이 발생하고 있는 사업은 AI와 클라우드를 접목한 AI 컨택센터(AICC)다. AICC는 인공지능 기반 고객 접점으로, 기존 고객센터 대비 상담사의 업무 효율성과 상담 고객의 만족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김 CFO는 "대기업에겐 구축형 AICC, 중소 사업자에겐 에이센 클라우드 등으로 서비스를 구성하고 있으며, 중장기적으로는 B2C와 B2B를 연결하는 AI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사업자가 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