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해커에 일본 정부도 뚫린 것으로 확인됐다. 워싱턴포스트(WP)는 7일(현지시간) 중국 인민해방군 산하 해커들이 2020년 말 일본 정부의 방위 기밀 전산망을 공격해 대량의 정보가 노출됐다고 보도했다.
익명을 요구한 전직 미국 고위 관리들은 중국군 해커들이 일본에서 가장 중요한 방위 관련 전산망에 침투해 군사계획, 전력, 결점 분석 등 군사 기밀 정보를 표적으로 삼았다고 입을 모았다. 전직 미군 당국자는 WP에 중국의 해킹 정도가 충격적인 수준이었다고 말했다.
해킹 사실을 처음으로 확인한 폴 나카소네 당시 국가안보국(NSA) 국장과 매슈 포틴저 당시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부보좌관은 일본 정부에 해킹 사실을 설명했다. 2021년 1월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했을 무렵에도 중국 해커들은 일본 전산망에 침투해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일본이 사이버 보안을 대폭 강화하지 않는다면 미국과 일본 간 군사 기밀 정보 공유도 차질을 겪을 수밖에 없다.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부 장관은 일본 정부에 사이버 보안 능력을 개선하지 않는다면, 정보 공유가 늦어질 수 있다고 시사했다.
중국의 해킹 강도는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과 연계된 해커들이 마이크로소프트(MS) 클라우드망을 공격해 지나 러몬도 미 상무장관과 니컬러스 번스 주중 미국대사, 대니얼 크리튼브링크 국무부 동아태차관보 등 미 고위 당국자의 이메일 계정을 해킹한 사실이 확인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