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SKT)이 '양자보안통신(QSC)' 표준을 선점하고 이를 해외 ICT(정보통신) 기업에 수출해 보안 관련 매출을 확대한다는 계획을 29일 공개했다.
이를 위해 SKT는 8월 29일부터 9월 8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 표준화 부문(ITU-T) 정보보호연구반(SG17) 국제회의에서 QSC 표준 과제에 대한 개발을 진행할 방침이다.
QSC는 기존 양자통신 기술인 '양자키분배(QKD)'와 '양자내성암호(PQC)'의 장점을 절충한 차세대 보안 기술로, 양자컴퓨터를 활용한 공격으로부터 통신 전 과정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PQC는 양자난수 생성 기법을 활용해 일반 컴퓨터는 물론 양자컴퓨터로도 해독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도록 하는 암호화 기법으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만으로도 현행 통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어 확장성이 뛰어나다.
SKT는 QKD와 PQC를 통합 관리하는 솔루션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두 기술을 적용한 통신 구간을 연결해 양자컴퓨터 공격으로부터 안전한 통신망 구축 방안을 연구 중이다. 하나의 통신망에 두 암호화 기술을 모두 적용해 보안 강도를 최대로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SKT는 유선망에는 QKD를 적용하고 무선망에는 PQC를 적용함으로써 기지국과 스마트폰 간 통신 전 구간을 양자컴퓨터 공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공공, 국방, 금융 등 중요하고 민감한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센터에는 양자암호기술을 적용하고, 이를 무선 통신으로 외부에 전송할 때는 양자 내성 암호를 적용하는 형태로 구축·운영 비용을 절감하면서 안전한 통신망을 구축할 수 있다.
SKT는 QSC를 글로벌 표준으로 등록하고 전 세계 양자 보안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ITU-T를 필두로 ETSI(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 GSMA(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 등 국제기구에서 표준 수립 활동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특히 양자암호통신망의 자동 제어와 운영 기술 표준을 수립하고 이를 각기 다른 제조사의 통신 장비로 구성된 양자암호망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관련 연구·개발을 진행 중이다.
심동희 SKT 혁신사업팀장은 "QSC는 연구·개발에만 5~10년이 걸리는 기술인 만큼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앞서 관련 준비에 나선 것"이라며 "빅테크와 글로벌 이동통신사가 QSC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만큼 시기의 문제일 뿐 QSC 상용화는 기정사실"이라고 설명했다. SKT는 이러한 기술 선점을 위해 지난 2019년 서울에서 대구까지 5G망 약 331㎞ 구간에 QKD 기술을 적용했으며, 2020년부터 2022년까지 2년간 관련 국책사업도 수행했다.
한편 2022년 양자정보기술 백서에 따르면 전 세계 양자암호 시장 규모는 연평균 39.8% 성장해 2030년에는 24조5793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