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는 29일 내년도 예산안으로 4조 2895억원을 국회에 제출한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국제사회 기여를 통해 글로벌 중추국가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외교부는 내년 임기가 시작되는 유엔 안보리 이사국 활동을 통해 자유·인권·법치 등 보편적 가치에 기반한 규범 기반 국제질서를 선도하고 책임 있는 역할을 수행해 나간다고 전했다. 비상임이사국으로서 성공적인 활동 지원을 위해 평화구축 등 중점 의제 관련 국제기구 사업 분담금도 올해 6618억원에서 내년 8179억원으로 확대한다.
아울러 민주주의 선도국가로서 역할 및 위상을 제고하고, 한미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 강화를 위해 제3차 민주주의 정상회의를 내년에 개최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내년 신규로 46억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개발도상국의 혁신과 개발을 지원하고, 장기화되고 있는 우크라이나 전쟁 및 대형 재난, 재해 등 인도적 위기 대응을 통한 상생의 국익과 인도적 가치 실현에도 기여할 방침이다. 올해 2993억원이었던 인도적 지원(ODA) 예산이 내년 7401억원으로 대폭 늘어났다.
외교부는 또 아프리카와의 호혜적이고 미래지향적 협력 관계 구축을 위해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개최하고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의장국 수임을 준비한다. 태평양 지역 및 아프리카에 대한 외교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해 해당지역의 국가원조도 확대한다.
외교부는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외교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기존의 전통적 의미의 안보외교를 지속 추진하는 한편, 새로운 위협으로 등장하고 있는 경제안보 현안에 대한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인공지능, 바이오 등 새로운 영역에서 대한 국제규범 수립 논의를 선도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내년 △주요국 경제동향 대응 20억원 △제2차 인공지능의 군사적 이용에 관한 고위급회의(REAIM) 개최 31억원 △제5차 유엔 플라스틱협약 정부간협상위원회 회의(INC-5) 35억원 등의 예산도 책정했다.
이밖에 적시 여권발급이 가능한 여건을 마련하기 위해 1410억원, 여행경보지도의 고도화에도 12억원을 사용할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