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더불어민주당 김영호 의원이 서울시에서 제출받은 '조합 해산 및 청산 현황'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서울 25개 구의 정비사업 조합은 총 250개다. 이 중 청산이 완료된 조합은 55개(22%), 청산되지 않은 조합은 85개(34%)다.
나머지 110개는 미해산, 연락 두절, 자료 미제출 등으로 청산 여부를 제대로 확인할 수 없는 조합이다.
현행법상 정비사업 조합은 정비사업이 완료돼 입주가 끝나면 1년 이내 조합장이 조합 해산을 위한 총회를 소집하고, 총회에서 청산인을 선임해 조합 사무를 종결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청산인은 해산한 조합의 조합장이 그대로 승계한다.
조합은 청산 작업을 통해 그동안 비용을 결산한 뒤 추가 이익을 조합원들과 나눈다. 미청산 조합은 청산인을 선임해 놓고도 청산을 끝내지 못하고 조합 사무실과 임원을 그대로 유지하는 곳들이다.
법적 분쟁 등이 이어져 청산이 불가능한 조합도 있지만 일부 조합에서는 청산인이 고의로 청산 절차를 지연해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금, 채권 추심, 변제 등을 위해 남겨둔 유보금을 횡령한 사례도 확인됐다.
영등포의 A재개발조합은 2020년 10월 입주를 마친 뒤 2021년 4월 해산하고도, 2년 넘게 청산을 마무리하지 않았다. 조합장과 직원 1명에게 매월 1300만원을 급여로 주고 있는 상황이다.
성북구 B재개발조합은 조합장 월급이 586만원이고, 바로 옆 C재개발조합장은 517만원을 받고 있다. 이들은 경리 직원도 따로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2월 해산한 마포구 D재개발조합도 조합장·직원 월급으로 매달 800만원을, E재개발조합은 813만원을 지출하고 있다.
조합장·직원 급여가 100만원대인 미청산 조합은 3곳, 200만원대인 곳은 12곳이었다. 300만원대가 24곳으로 가장 많았고, 400만원대 12곳, 500만원대 11곳, 600만원대 3곳, 700만원대 6곳, 800만원 이상 4곳이었다.
김영호 의원은 "고의로 청산을 지연하며 조합원들과 입주자들의 권리를 침해하는 일부 부도덕한 청산 조합에 대해서는 수사기관 고발 등 조치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국회에 발의된 '청산연금 방지법'을 조속히 통과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