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기업은 편익과 비용 등 모든 측면에 걸쳐 복합적 애로 사항에 직면해 있다. 이미 도입한 기업들은 투자와 지출을 공격적으로 늘리고 있는 만큼 시간이 지날수록 격차가 더욱 벌어지게 된다. 정부가 기업의 애로를 해소해 AI 활용이 더욱 확대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최민철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7일 아주경제신문 주최로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제15회 착한 성장, 좋은 일자리 글로벌포럼(2023 GGGF)'에서 'K-인더스트리의 AI 도입 확대를 위한 정책적 과제'를 주제로 한 강연을 통해 "국내에서 AI 개발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안보·헬스케어 등 분야의 기업들 사이에선 AI 도입이 화두다. 생산성과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첩경으로 인식돼서다. 다만 속도는 더디다. 통계청이 1만3488여 개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1년 기업활동조사'에 따르면 AI 도입 기업은 539개에 그쳤다. 전 산업에 걸쳐 14.2% 수준에 불과하다. 정보통신이나 금융·보험 업종의 경우 AI 도입률이 10%를 넘기도 하지만 제조업은 2.6% 정도로 미미하다.
기업들은 주로 자동화 운영, 향후 전망 및 예측, 자료 분석 등에 AI를 활용한다. 제품 및 서비스 개발, 물류와 경영 관리 부문에서도 AI의 쓰임새가 확대되는 추세다. 최 부연구위원은 "AI는 정보통신기술(ICT)이나 금융업, 제조업에서 이미 디지털 전환의 핵심 요소 역할을 하고 있다"며 "산업 현장에서 기업들이 자신들의 활동을 위해 AI 확대 논의에 집중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인력과 자금, 기술 부족이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기업들은 '고용' 문제를 가장 큰 애로 사항으로 꼽는다. 최 부연구위원은 "기업들이 필요하지만 뽑지 못하는 인력은 소프트웨어나 모델을 개발하는 전문 인력"이라며 "이 밖에도 장비 인프라와 데이터 부족 등의 문제도 있다"고 전했다.
최 부연구위원은 AI 생태계 확대를 위한 핵심 과제로 석사 이상의 전문 인력 양성을 꼽았다. 해외에서 인력을 충원하는 것보다는 우리 힘으로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게 중장기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는 "전 세계 기업들이 AI 부문 전문 인력 고용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정부가 AI 대학원을 설립하는 등 토종 전문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는 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자금 지원도 주문했다. 최 부연구위원은 "현재 정부는 AI 수요 기업에 대한 바우처 지원 사업을 진행 중"이라며 "이런 방식의 자금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 부연구위원은 "국내 개방형 AI 생태계를 강화하기 위한 움직임이 인력·자금·인프라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과 결합돼야 산업 내 AI 도입을 확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